지난해 하반기부터 청산 절차에 들어갔던 기업구조조정기금중 상당수가 부실로 전락, 회수가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지원이었다는 논란이 예상된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시중·국책 등 22개 금융기관은 존립기간이 만료된 서울, 아리랑, 무궁화, 한강 등 4대 구조조정기금을 연장하지 않고 청산에 들어갔다.
4대 기금은 지난 98년 9월 외환위기 당시 사업성은 있지만 자금난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의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금융기관이 1조9667억원을 출자해 설립한 후 149개사에 총 2조409억원을 투자했다.
지난해 4대 기금은 청산 결의에 따라 9월말 이후 미회수된 투자자산을 현금화하고 이를 주주들에게 분배한다는 방침 아래 2년간의 청산 절차에 착수했다.
그러나 서울 1014억원, 아리랑 724억원, 무궁화 1239억원, 한강 4337억원 등 4대 기금이 보유한 7000억원가량의 미매각자산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회수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청산운용사는 비상장주식은 기업공개(IPO)나 장외매각 및 인수합병나 법정관리 등의 법적절차를, 상장주식은 블록세일 방식의 매각을 추진중이나 부실 기업이 상당수라는 것이다. 청산운용사도 일부 회사에 대해서는 법정관리 등의 법적 절차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의 핵심 관계자는 “미매각자산은 70여개 기업에 투자됐는데 50%가량이 비상장기업이고 나머지 20%는 회수가 어렵거나 소송을 거쳐야 하는 상태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금융기관들은 그러나 벤처투자 특성상 청산에 7∼8년이 소요되는데다 시장 여건이 예상보다 호전되고 있어 회수 및 투자자 배당에 특별한 어려움이 없을 것이란 입장이다.
국책 은행 관계자는 “벤처는 설립과 출자, 실적과 상장 등의 사이클을 봤을 때 8년은 돼야 투자 회수가 가능하다”며 “지난 6년간 전체 펀드의 운용 수익률이 10% 안팎이었는데 현재 벤처 회생 분위기 등의 여건과 다양한 투자회수 기법을 감안할 때 수익률은 오히려 높아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 lmj@fnnews.com 이민종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