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3년 이후 40대층은 소득 대비 지출을 거의 늘리지 않은 반면 30대와 50대는 경기에 상관하지 않고 씀씀이를 늘렸던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민간소비가 감소세로 돌아서기 시작한 지난 2003년과 올해 도시근로자 가구의 가구주 연령별 평균 소비성향을 비교해보면 40대층은 미미한 증가에 그친데 비해 30대와 50대는 대폭적인 증가를 보였다.
소비성향은 처분가능 소득(소득에서 조세·사회보험료·타가구 송금 등 비소비 지출을 뺀 금액)에서 소비 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40∼44세의 평균 소비성향은 지난 2003년 78.4%에서 올 1·4∼3·4분기 78.5%로 0.1%포인트, 45∼49세 역시 79.5%에서 80.4%로 0.9%포인트 각각 증가하는데 머물렀다.
이에 비해 30대와 50대의 평균 소비소향은 2년 전에 비해 1.4∼2.0%포인트 증가해 40대의 증가 폭을 웃돌았다.
30∼34세는 지난 2003년 71.8%에서 올 들어 9월까지 73.3%로, 35∼39세는 74.9%에서 76.5%로 각각 높아졌다.
50∼54세와 55∼59세의 평균 소비성향 역시 올 1·4∼3·4분기 각각 77.7%와 68.6%로 2년 전의 75.7%와 67.2%에 비해 2.0%포인트, 1.4%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신세대인 20대층은 가장 높은 소비성향 증가를 기록하며 소비 활동에 매우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25∼29세의 평균 소비성향은 지난 2003년 70.7%에서 올 1·4∼3·4분기 74.0%로 3.3%포인트나 뛰었다.
이 같은 연령별 소비성향 추이는 40대층이 가처분소득 증가 비율만큼만 소비 지출을 늘린데 비해 나머지 연령층은 손에 쥘 수 있는 소득이 늘어나는 비율 이상으로 소비를 더 많이 늘렸기 때문이다.
/
ykyi@fnnews.com 이영규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