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 인프라를 확충하고 환적 비용 인하 등 인센티브가 필요하다.”
해양수산부가 21일 오전 서울 계동 해양부 9층 국제회의실에서 업계관계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중국 양산터미널 개발에 따른 국내 항만의 대응방안’을 주제로 연 토론회에서 나온 권고안의 골자다.
양산항은 중국 정부가 ‘아시아 허브’를 목표로 개발한 항구로 상하이에서 30㎞ 떨어진 대·소 양산도에 50개 선석(배를 항구에 대는 자리) 규모로 오는 2020년 최종 완공될 예정이다. 이달 말 또는 오는 12월 초 우선 1단계로 5개 선석의 소양산도 컨테이너 터미널이하역 작업을 시작한다.
중국 정부는 양산항뿐 아니라 톈진 및 닝보항의 개발도 서두르고 있어 중국은 중장기적으로 원자재 ‘블랙홀’에 그치지 않고 동북아 ‘물류 블랙홀’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항만 인프라 확충 등 유비무환의 자세 필요하다
해운·항만업계 관계자들은 중국 상하이 양산항과의 본격적인 물류유치 경쟁에 대비, 국내 항만의 인프라를 확충하고 환적 비용 인하 등의 인센티브를 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최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국제물류팀장은 “양산항 개항이 단기적으로 부산항 등에 큰 타격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그러나 중국뿐 아니라 일본과 대만, 홍콩 등이 화물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중장기적으로 국내 항만의 경쟁력강화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는 11월 말이나 12월 초 당장 5개 선석 규모의 1단계 양산항 터미널이 개장한다고 해도 중국 화베이 지역의 넘쳐나는 기존 물류량만을 감당하기도 벅찬 상황인 데다 양산항이 주로 처리하게 될 유럽항로 환적 화물도 우리나라 환적화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 안팎에 불과하다고 그는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상하이 등 중국 8개 항만이 연간 20%대의 고속 성장을 통해 이미 세계 20위권에 진입했고 중국 정부가 양산항뿐 아니라 톈진 및 닝보항의 개발도 서두르고 있는 만큼 중장기적으로 중국이 동북아 물류의 ‘블랙홀’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부산항 등에 피더선(중추항과 중소형항을 연결하는 컨테이너선) 전용부두를 건설하고 통관체계 개선 등을 통해 24시간 내 환적이 가능한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그는 주장했다.
그는 또 중국이 상하이를 중심으로 물류 운영체계를 통합한 것과 마찬가지로 부산과 광양항의 운영체계를 적극적으로 연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국동 한국항만물류협회장도 “양산항이 국제 환적화물에 대해 70%가량 비용을 낮춤에 따라 이미 스위스 MSC 등 일부 선사들은 환적 물량을 부산에서 양산항으로 옮기고 있다”면서 “이에 맞서 부산 북항의 환적 인센티브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양산항 개장을 너무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반론도 나오고 있어 만만치 않다. 최원종 한국허치슨터미널 사장은 “KMI가 지적했 듯이 부산에 기항하는 유럽항로 물동량이 많지 않아 큰 타격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고 장두찬 한국선주협회장은 “양산항이 아시아 물동량을 ‘싹쓸이’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양산항은 중국 정부가 ‘아시아 허브’를 목표로 개발한 항구로 상하이에서 30㎞ 떨어진 대·소 양산도에 50개 선석 규모로 오는 2020년 최종 완공될 예정이다. 이달 말 또는 오는 12월 초 우선 1단계로 5개 선석의 소양산도 컨테이너 터미널이 하역 작업을 시작한다.
■3국 물류협력으로 상생 꾀한다
오거돈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날 토론에서 “부산과 광양항이 동북아 지역의 환적 화물항이 될 수 있도록 한·중·일 3국이 협력하기로 했다”면서 “내년 하반기에 물류시장 개방을 위한 3국 관계장관회의를 갖기로 했다”고 대책을 발표했다.
오장관은 이를 위해 내년 상반기 안에 ‘동북아 물류협력을 위한 장관급 협력체’를 구성, 하반기 안에 서울에서 1차 회의를 열 계획이라고 말했다. 협력체는 중국 양산항과 내년 1월 부산 신항 개장으로 심화될 동북아 지역의 물류경쟁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한·중·일 3국간 해양 물류시장의 개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협력체 구성은 오장관이 지난 7월 일본에서 기타가와 시로카즈 국토교통성 대신을 만나 제의한데 이어 지난 10월 중국 장춘시안 교통부장을 만나 긍정적이 답변을 얻으면서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 3국은 장관급 회담을 갖기에 앞서 내년 1월 3국간 실무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협력체가 구성되면 동북아 지역에서 3국간 지리적으로 유리한 국내 항이 수?출입과 환적화물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업계는 내다봤다. 부산·광양·인천·평택항 등 국내항의 화물물동량이 오는 2010년까지 올해 부산항 물동량 규모인 1000만TEU(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 이상의 화물이 증가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 dikim@fnnews.com 김두일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