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n사설]난자 파동 재조사설 경계한다



황우석 교수의 ‘윤리 고백’ 이후의 관심사는 세계 학계가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느냐 다시 말하면 ‘난자 관련 비윤리적 문제’로 야기된 상황이 수습 국면으로 접어 드느냐 아니면 더욱 악화되느냐다. 다행스럽게도 처음으로 이 문제를 제기한 미국의 섀튼 교수는 ‘황박사가 이룩한 과학적 결론은 손상되지 않을 것’이라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사이언스 편집장 역시 황교수 논문 게재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과학계는 황박사의 ‘고백’에 긍정적으로 반응, 사태가 수습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일각, 그것도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일부 위원이 ‘더 철저한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면서 재조사를 요구하고 있는 것은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생명윤리 관련 국가 최고 심의기관의 일부 위원은 재조사 요구 이유로 난자 파문 진상조사를 한 서울대 수의대 기관윤리심의위원회가 황박사와 세계 줄기세포 허브가 소속된 서울대 수의대기구이기 때문에 제3의 기관이 객관적으로 재조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들고 있다. 서울대나 황박사를 믿지 못하겠다는 뜻이 담겨 있다.

재조사 여부는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가 결정할 사항이기 때문에 국외자가 왈가왈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러나 이번 난자 파동이 실정법을 위반한 것이 아닌 이상 문제를 더 확대시키는 것은 결코 슬기로운 일이 못되는 것 역시 부인할 수 없다. 윤리적 문제는 윤리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원칙이다. 국가 최고 심의기구가 산하 기구의 조사 내용에 대해 ‘믿을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결코 윤리적인 대응이라고 보기 어렵다. 황교수가 스스로 ‘잘못’을 인정, 공직을 사퇴한 이상 이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 사태 수습에 나서는 것이 바로 윤리적인 대응이다.


황교수가 소장직을 사퇴한 세계줄기세포 허브는 각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비상대책 운영기구를 만들어 허브 운영을 맡기는 한편으로 윤리 규정 정비에 나서겠다고 밝히는 등 후유증 최소화에 나서고 있다.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는 지금까지의 상황을 재조사할 것이 아니라 허브 비상대책위의 윤리규정 정비를 적극 지원하는 것이 도리라고 하겠다. 그것이 바로 실의에 빠져 있는 연구팀을 격려함과 동시에 생명 윤리를 확립할 가장 효과적인 길이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