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운노조가 전국항운노조연맹의 시한부파업지침에 따라 인천항,평택,울산 항운노조가 28일 시한부파업을 벌였다.
인천항운노조는 항만노무공급권 독점권 폐지를 뼈대로 한 ‘항만인력공급체계 개편을 위한 지원 특별법안’이 졸속처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경고 차원에서 이날 오전8시부터 4시간동안 시한부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조합원들은 파업돌입에 따라 작업을 거부한채 항만내 각 연락소별로 진행된특별법 관련 교육에 참석했다.이에 따라 인천항 전체 부두에서 철재, 원목, 사료, 자동차 등 화물 하역작업이 전면 중단됐다.특히 이날 오전 처리 예정이었던 자동차 1700대 선적이 중단돼 선사측 피해가 커졌다.
노조는 이날 점심시간을 갖고 오후 1시부터 작업을 재개했으나 4시간 파업으로 수출자동차 선적 선박, 컨테이너선 출이 지연됐다.
노조는 그러나 연안여객선, 국제여객선 하역 업무의 경우 승객 불편을 감안, 종전과 마찬가지로 작업을 진행했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파업에 따른 이날 오후 이후 선박 입·출항 일정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오후 2시부터 진행되는 선석회의에서 파업 여파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선박의 입·출항 일정을 정하기로 했다.
평택항운노조도 이날 오전 8시부터 4시간 경고성파업을 벌였다.
노조의 파업으로 평택?당진항은 자동차전용부두인 동부두 2, 3번 부두의 하역이 중단돼 오전에 예정됐던 자동차 1800여대의 선적에 차질이 빚어졌다.
울산항운노조도 같은 시간에 파업을 벌였다.노조는 이날 오전 파업에 돌입한 뒤 남구 장생포동 일반부두 정문 앞에서 조합원 600여명이 모인 가운데 파업 집회를 가졌다.
노조의 파업으로 이날 울산항의 하역작업이 이뤄지지 않아 오전 한때 항만 업무에 차질이 빚어졌다.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는 지난 25일 항운노조 상용화 특별법 법안심사소위를개최한데 이어 28일 전체 회의를 거쳐 다음달 8일께 본회의에 상정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그동안 관행으로 이뤄졌던 채용에 따른 금품수수 등 항만노조의 구조적인 비리가 있었다”면서 “이를 없애기 위한 정부의 노조인력독접법안 폐지에 대한 저항명분이 없는 만큼 대규모 파업사태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양부 전재우 항만운영과장은 “정부는 노조와 대화를 통해 설득 작업을 벌이고 있으며 비상항만운영계획을 세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면서 “대규모 파업으로 이어질 경우에 대비,군부대와 하역업체 근로자 등 대체인력과 대체항만 확보계획을 마련,물류 하역의 피해를 최소화 해 나갈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
dikim@fnnews.com 김두일기자
■사진설명=인천항운노조가 4시간짜리 시한부 파업을 벌인 28일 오전 인천항 5부두에서는 선적 중단으로 수출용 자동차들이 부두에 빽빽이 들어서 있다.
사진=연합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