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달러 환율 하락에 따라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은 매출 둔화의 부정적 효과가 커진다. 반면 수입단가 하락으로 원가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출 비중이 높고 원재료 수입 비중이 낮을수록 타격이 크다. 또 원화가치 절상은 수입물가 안정을 통해 가계의 구매력 확대에 영향을 준다. 특히 정부의 불태환정책이 완벽하게 진행되지 않음에 따라 해외부문 통화 공급은 국내 통화량 증가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다시 내수 회복에 긍정적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우증권 제공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