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8월 판교신도시에서 선보일 전용 25.7평 초과 중대형 아파트의 분양가 산정을 위한 기본형 건축비 윤곽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그동안 판교 턴키 입찰을 준비해 왔던 건설사들은 막바지 손익계산에 분주한 모습이다.
하지만 업체들은 정부의 이번 중대형 아파트 기본형 건축비 가안이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게 대체적인 반응이다.
한 대형건설사 판교 입찰 담당 부서장은 “마감자재는 지금까지 지었던 어떤 아파트보다도 높은 품질을 적용하도록 입찰지침서에 명시해 놓고 건축비는 상대적으로 낮추라고 하는 것은 대형 업체들의 실상을 모르는 처사”라며 “자재구입단가나 일반관리비 등이 회사마다 다르지만 현재의 지침과 건축비라면 도급순위 20위권에서 판교 턴키 입찰에 참여하는 업체들은 많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다른 대형건설사 공공영업팀 관계자는 “정부가 초고속정보통신 특등급과 홈네트워크시스템을 적용한 1안과 그렇지 않은 2안의 가격이 불과 10만원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 건축비가 적게 책정된 2안이 최종 결정되지 않겠느냐”며 “이들 시스템 설치비용을 10만원으로 책정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또다른 건설사 관계자 역시 “홈네트워크만 해도 정부가 적용한 수준 이상의 여러 기능이 추가된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데 1안의 가격으로는 부족하다”며 “특히 최근 고객선호도가 높은 웰빙, 친환경 마감 등 양질의 서비스는 제공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상징성 때문에 많은 업체들이 판교 입성을 준비해 왔고 여전히 경쟁률도 상당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한 건설사 임원은 “발표될 건축비를 적용해 집을 짓는 것이 수익성 측면에서는 다소 불리하다고 하더라도 판교에 들어가려는 업체들은 여전히 줄을 섰다”며 “아예 적자라면 모를까 적게 남는다 해도 많은 건설사가 판교 입찰에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근 판교 입찰을 포기한다고 밝힌 일부 대형 건설사의 경우 ‘적은 이윤’과 ‘하자보수 등으로 인한 브랜드 인지도 저하’ 등을 우려, 이와 같은 결정을 내린 바 있었다.
이번기회에 건설사들이 원가 절감을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건설산업전락연구소 김선덕 소장은 “건설사들은 가격 경쟁을 하기보다는 정해진 건축비 안에서 양질의 주택을 공급하는 등 원가 절감 노력을 통해 경쟁력을 찾는 방안을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bada@fnnews.com 김승호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