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알짜 저축은행 매물 없나요?

이민종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6.02.16 14:21

수정 2014.11.07 00:00



#1=지방의 A저축은행은 2년여 전만 해도 10억원선에 매각가가 분류됐다. 그러나 최근에는 3배나 뛴 30억원선이 거론된다. 소규모 저축은행이긴 하지만 전체 저축은행 몸값이 상한가임을 알 수 있는 단적인 예다.

#2=자금중개업체를 운영중인 K씨는 우량 저축은행에 관심이 많다. 그는 "앞으로 저축은행 영업구역도 더 풀린다는 발표를 들었다"면서 "알짜배기 저축은행이 있는지 수소문하고 있다"고 말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금융위기론'의 진앙지였던 저축은행들이 '귀하신 몸'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속적인 구조조정과 규제완화에 힘입어 건전성이 강화된 상황에서 풍부한 시중 유동자금을 타고 매물을 찾는 손길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금융감독당국은 서민금융사의 육성 차원에서 영업규제를 계속 풀어나간다는 방침이어서 저축은행의 인수합병(M&A)은 활기를 띨 전망이다.

■지방 재력가·중견기업들, '알토란 저축銀' 인수 관심 급증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16일 "최근 주로 지방 큰손들을 중심으로 '저축은행에 뜻이 있으니 적당한 곳을 물색해 달라'는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이미 몸값이 천정부지로 뛴 상태"라고 말했다.

저축은행은 잠재 부실요인이 남아있긴 하나 외환위기 직후와 지난 2004년 말에 비하면 '상전변해'의 변화를 겪었다. 지난해 하반기 당기순이익은 당초 예상액을 뛰어넘은 4006억원을 기록했다.

건전성이 개선된 저축은행을 인수하려는 이들은 주로 자산규모 200억∼300억원을 지닌 재력가들이다. 행정수도 이전과 기관 지방 이전으로 보상금이 풀리고 부동산값 급등으로 거액을 쥐게 된 신흥갑부들도 투자에 관심이 많다. 제조업체를 영위해 자칫 노사문제 등으로 골머리를 앓느니 안정수익을 꾀할 수 있고 정부가 공인해준 금융기관인 저축은행의 최고경영자(CEO)란 메리트까지 얻을 수 있는 저축은행에 눈길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특히 중견기업들도 금융업 진출의 발판이 될 수 있다고 판단, 저축은행 M&A에 부쩍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소규모 저축은행일수록 전문가 이상의 식견과 경영능력을 지녀야 한다는 게 감독당국의 지적이다. 당국의 꼼꼼한 심사 때문에 대주주 자격을 얻기도 힘들지만 섣불리 투자할 대상은 결코 아니라는 뜻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전문경영인을 영입해 내세우면 된다고 생각할지 모르나 과거 부실이 이들의 농간에 의한 게 많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면서 "은행에 비해 저축은행은 발로 뛰고 현장을 확인하지 않으면 부실을 늘리기 십상"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B저축은행을 인수해 1년여 만에 여·수신을 300억원 가까이 늘린 한 오너는 현장을 무조건 두번 이상 찾는 것으로 업계에서 유명세를 떨치고 있다.

■연 2회 적격성 심사·수도권 뺀 지방영업구역 대폭 확대

금감원은 관심이 폭증하고 있는 우량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동일인 대출한도를 확대하는 등 규제를 풀어 자산운용의 자율성을 키워줄 방침이다.

하지만 저축은행 대주주의 적격성을 반기에 한번씩, 1년에 2회가량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제도를 도입해 부적격자는 업계에서 완전 퇴출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신규 진입 희망자 중 부적격자를 걸러내는 것 외에도 기존 주주들이 부실 출자대출을 했을 경우 곧바로 자격을 박탈하는 내용"이라고 말했다.


지난 9일 내놓은 저축은행 영업구역 완화는 수도권은 일단 제외한 채 경북(대구)·강원, 경남(울산, 부산), 충청(충남·북, 대전), 호남(전남·북, 광주, 제주) 등 4대 권역으로 확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수도권의 경우 과열경쟁이 예상되기 때문에 일단 기존 영업구역이 유지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저축은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매우 다행"이라면서 "이를 계기로 경영상태가 취약한 저축은행은 자율 경영개선을 추진하고 규제도 계속 풀어 활성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lmj@fnnews.com 이민종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