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4%대에 머물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됐다.
29일 한국은행은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을 통해 8월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올 하반기 GDP성장률은 지난해 동기 대비로 4.0∼5.0%에 달할 확률이 52%로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또 4.0%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35%나 됐으며 5% 이상 전망은 13%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올 하반기에 상반기 기준으로 0.9%의 성장이 예상돼 상반기의 1.0% 성장에 미치지 못할 것이나 완만한 상승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며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 국제유가 향방 등 국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에 따른 하방위험은 상존한다고 분석했다.
민간소비는 대체로 완만한 회복세를 유지할 것이며 설비투자도 기업투자심리 악화에도 전반적인 개선 추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건설투자는 계속 부진한 가운데 수출은 꾸준히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경상수지는 유가상승 및 서비스수지 적자 영향으로 균형수준에 근접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물가는 연말로 진행될수록 상승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하반기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동기 대비 2.8% 상승, 상반기(2.4%)보다 오름세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yongmin@fnnews.com김용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