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추석이후 증시 가장 두려운 변수는 ‘환율’

신현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6.10.04 18:14

수정 2014.11.05 11:27



추석 이후 주식시장의 대내외 변수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개천절 불거진 북핵 리스크, 환율불안 등 각종 변수들이 증시에 어떻게 작용할 지에 대한 대답을 선뜻 내리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증시가 계단식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오는 10일 LG필립스LCD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막이 오르는 3·4분기 어닝시즌은 일단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가운데 국제유가의 하향 안정세, 양호한 간접투자자금 흐름, 개선되는 경제지표 등으로 투자심리가 한층 호전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금리나 유가 등 대외리스크가 그동안 국내 증시를 괴롭혀 왔다면 앞으로 가장 두려워해야 할 변수는 환율이 될 것으로 보인다. 증시가 아직까지는 환율하락이라는 악재를 잘 극복해내고 있지만 원·달러 환율이 추가 하락할 경우 기업들의 실적회복 기대감을 희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환율, 증시 발목 잡을까

최근 증시에서 주목하고 있는 것은 환율과 유가의 흐름이다. 서부텍사스중질유(WTI)가 배럴당 78달러까지 육박했으나 현재 60달러 초반까지 하향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어 일단 국내 증시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문제는 환율이다. 9월초 950원대를 유지하던 원·달러 환율은 현재 940원대까지 하락한 상태다. 국내 증시가 연초부터 강한 경기회복을 기대로 급등세를 이어가다가 지난 5월11일 코스피지수 1464.70이라는 역사적 고점을 찍고 추락한 것도 환율때문이었다. 하반기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가 약화됐기 때문.

여기에다 원·엔화 환율이 800원 밑으로 붕괴됨에 따라 원화 강세가 더욱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증시가 하반기 기업실적 회복을 기대로 상승탄력을 받고 있는 시점에서 환율이 또다시 증시의 발목을 잡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기업실적 기대감이 환율하락으로 희석되면 주가 상승탄력도 자연스럽게 약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환율하락은 증시에 긍정적, 부정적 요인을 모두 갖고 있다는 점에서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주가가 올라가는 국면에는 환율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이다.

한국증권 김학균 선임연구원은 “주가가 올라간다는 것은 그 나라의 경제가 잘 돌아간다는 것이고 그 나라의 경제력은 화폐가치가 올라간다는 점에서 최근 환율을 걱정하는 것은 장기적인 트렌드라기 보다는 짧은 기간 내에 나타나는 급변동이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리스크는 있지만 과대평가는 금물

환율의 추가하락은 펀더멘털 차원에서 국내 증시에 부담요인이 될 것은 확실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환율이 10% 하락하면 경상수지는 52억달러나 줄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화의 평가절상 폭이 경쟁국 통화에 비해 월등히 높고 한국 경상수지 악화 가능성 등 환율 충격이 장기화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에 따라 환율하락에 따른 리스크는 감안해야 하지만 과대평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우리투자증권 이윤학 연구위원은 “원·달러 환율의 하락이 주식시장에 부정적이지만은 않았다”면서 “비록 950원이 붕괴되면서 기술적으로 추가적인 약세 가능성은 남아있지만 가파른 절상흐름이 아니라면 너무 과도하게 반응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삼성증권 오현석 연구원은 “외국인의 계속되는 주식 매도, 해외투자의 구조적 확대, 다가오는 경기 둔화 등을 감안하면 이미 원화가 계속해서 강세로 간다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면서 “지금의 원화강세는 구조적인 요인보다는 일시적 환경변화에 기인한 만큼 재차 안정을 찾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한국증권 김선임연구원은 “최근 주식시장의 상승은 원화 가치의 상승과 함께 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환율하락(원고)의 부작용은 즉시 나타나기보다는 통상 1년의 시차를 두고 ‘수출경쟁력 약화-경상수지 적자-성장률 둔화’순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환율이 경제 및 증시에 미치는 영향을 과소평가하지 말고 꾸준히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shs@fnnews.com 신현상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