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암세포만 파괴’ 치료법 국내 개발



국내 연구진이 바이러스를 조작해 암세포만 골라 파괴하는 새로운 유전자 암 치료법을 개발했다.

산업자원부는 18일 연세대 의대 김주항·윤채옥 교수팀이 암 세포를 죽일 수 있는 ‘릴랙신’(Relaxin) 유전자의 새로운 기능을 세계 최초로 밝혀내고 이를 바이러스에 주입해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를 파괴하는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암연구 전문잡지인 미국의 JNCI(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18일(현지시간)자에 실렸다.

연구팀은 아데노바이러스에 릴랙신을 주입해 새로운 바이러스(종양선택적 아데노바이러스)를 개발했으며 이를 암세포에 투입하면 바이러스가 암세포에서 1만배 이상 증식해 암세포를 파괴할 뿐만 아니라 파괴된 암세포에서 나온 바이러스가 주변 암세포로 다시 침투·증식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종양선택적 아데노바이러스는 암세포에만 공통적으로 활성화돼 있는 효소인 ‘텔로머라제’(Telomerase)를 찾아 침투하는 기능이 있어 주변 정상세포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기존의 바이러스 암치료법은 일부 암세포에만 작용, 전체 암덩어리를 죽이지 못했으며 살아 남은 암세포들이 급속하게 성장하는 부작용이 있었다.


이와 관련, 연구팀은 종양선택적 아데노바이러스를 뇌종양과 간암, 자궁암, 폐암, 두경부암에 걸린 쥐의 종양부위에 3회 주사한 결과 60일 이후 모든 암에서 90% 이상의 암세포가 사멸하는 것을 관찰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미국식품의약국(FDA)이 공인한 캐나다의 기관에서 이미 독성시험을 끝냈고 현재 미국에서 임상 시료 생산을 진행하고 있다. 내년 초에는 세브란스병원에서 두경부 암에 한해 대웅제약과 함께 임상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며 결과에 따라 전체 암에 대한 임상시험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blue73@fnnews.com 윤경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