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 현대차 전주공장 이대로는 안 된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7.02.04 17:52

수정 2014.11.13 17:08



현대자동차 전북 전주공장 버스사업부 노조는 노사 공동위가 합의한 2교대 근무제 도입을 지난 1월3일에 이어 다시 부결시켰다. 이처럼 노조에 휘둘릴 것이라면 다음 세 가지 이유에서 전주공장 존폐를 포함하여 결단을 내려야 한다.

첫째, 노사 공동으로 합의한 것을 두 번씩이나 부결시킨 것은 노조 집행부의 노조 장악력, 다시 말하면 대표성이 없다는 뜻이며 이런 조직이 공장 운영, 회사 경영에 개입하는 것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고 봐야 한다.

둘째, 2교대 근무 거부가 전주공장 노조원에게는 ‘일 덜하고 받을 만큼 받는’ 편안함을 가져다줄지 모르나 협력업체를 포함한 다른 근로자의 취업 기회를 박탈하는 횡포라는 점이다. 회사가 2교대 근무를 전제로 선발했으나 아직 발령을 내지 못하고 있는 700여명이 공장 앞에서 시위까지 벌인 사태가 이를 대변하고 있다.



셋째, 회사 경영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전주공장에서 생산하는 버스는 주문 적체량이 무려 5000여대, 8개월치에 이르고 있다. 비록 현재는 현대차 버스가 러시아 등 신흥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이처럼 납기가 늦어지면 앞날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상적인, 상식적인 사고를 가진 노조라면 2교대 근무를 포함한 생산능력 제고에 앞장을 서야 마땅하다. 그런데도 유독 전주공장만이 세계 자동차 업계가 다 채택하고 있는 2교대 근무를 거부하고 있는 것은 일종의 횡포라고 봐야 한다.

따라서 노조가 계속해서 2교대 근무를 거부, 회사 경영을 압박한다면 전주공장 존폐를 포함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
전주공장 노조뿐만 아니라 현대차 노조는 결과적으로 ‘회사가 잘 나갈 때마다’ 파업으로 발목을 잡아왔다. 이러한 행태는 노조 스스로 척결에 나서기 전에는 뿌리 뽑을 수 없다.
회사가 궁지에 몰리면 노조 또한 설자리를 잃는다는 지극히 간단한 원리를 현대차 노조만이 모르고 있다는 것은 이 시대의 불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