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靑 ‘정상회담 무산설’ 부인

차상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7.02.05 18:01

수정 2014.11.13 17:06


참여정부 초기 남북정상회담이 성사 직전에 무산됐다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윤승용 청와대 홍보수석 겸 대변인은 5일 “참여정부 출범 초기에 특사파견 문제가 남북한 간에 논의된 적은 있으나, 진전없이 끝났다”고 밝혔다.

윤 수석은 “특사논의가 정상회담용도 아니었다.이같은 상황을 김 전 대통령이 해석과정에서 그렇게 이해하지 않았겠나”라고 말해 김 전 대통령이 사실관계를 다소 잘못 이해한 것 아니냐는 분석을 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당시 특사 추진은 정상회담 성사나 북핵문제 해결 등 특정주제를 미리 정해놓고 추진한 것은 아니다”면서 “2005년 정동영 당시 통일장관의 특사 방문시에도 그랬다”고 말했다.

청와대 다른 관계자는 “남북 정상회담과 관련 가장 긴박했던 때는 정동영 당시 통일장관이 방북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났던때”라면서 “그게 가능성이 가장 컸다”고 덧붙였다.

윤 수석은 또 “특사가 오가는 문제를 논의했으나 남북간 이견으로 무산됐으며 정상회담 일보직전 상황도 아니었다”고 강조한 뒤 “참여정부 5년차에 들어가는 시점까지 정상회담을 할만한 분위기도 무르익지 않았고 지금도 추진하지 않고 있다”고 못박았다.


대북특사 파견이 무산된 것은 참여정부 출범 직후인 2003년 4월 말 이뤄진 북·중·미 베이징 3자회담이 원인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알려졌다.당시는 2002년 12월 북한의 핵동결 해제 선언과 이듬해 1월 핵무기비확산조약(NPT) 탈퇴로 제2차 북핵위기가 촉발되면서 대북특사 파견 필요성이 제기됐으나, 3자회담이라는 다자채널이 가동되면서 남북간의 직접 접촉이 부담이 됐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특사 무산이유는 밝힐 수 있는 사안이 아니며 누가 먼저 제안했는지도 확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csky@fnnews.com 차상근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