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금융권 ‘성역없는’ 인재 쟁탈전

현형식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7.02.08 17:07

수정 2014.11.13 16:58


금융 전문인력 쟁탈전이 금융권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인력유출을 막으려는 방어와 이를 빼앗으려는 공격이 갈수록 치열해져 몸살을 앓고 있다.

자본시장 통합법 발효를 앞두고 은행,증권이 보험전문가 영입에 나서고 보험도 펀드,세무, 부동산 전문가 영입에 가세함 따라 금융권의 인력 재편 현상이 빠르게 전개될 전망이다.게다가 저축은행도 PB(개인)화를 서두르면서 은행의 PB 전문가 영입을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재의 사관학교로 불리는 삼성생명, 화재, 푸르덴셜생명,국민, 우리은행의 경우 돈을 들여 전문가로 키워놓으면 막대한 스카우트 비용을 제시하며 빼앗아가는 사례가 빈발하자 이의 방지를 위한 전속제(일정기간동안 이직하면 위약금을 무는 것)강화를 검토하고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자통법이 시행되면 금융 권역별 칸막이가 사라짐과 동시에 하나의 금융상품이 아닌 펀드나 부동산, 세무, 수익증권, 보험등의 종합 재무설계 상품이 급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금융권이 이의 재무설계사나 PB전문가 인력 충원에 발벗고 나선 가운데 은행, 증권,보험,저축은행등의 인력 스카우트전이 교차 형태로 확대돼 인력 스카우트 패러다임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최근 SC제일은행 및 HSBC 등 일부 외국계 은행들의 경우 삼성생명 등 대형 생보사의 재무설계센터(VIP고객을 중심으로 재무설계 업무들을 수행하며 은행의 PB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서)소속 직원을 스카우트하고 있다. 이들 인력에 대해서는 향후 부동산이나 세무, 펀드등의 교육을 마친 다음 PB 전문가로 활용하고 있다. 또 재무설계사인 CFP(재무설계사)나 AFPK(개인 재무설계사)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을 충원하거나 자체교육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토록 하고 있다.

우리은행도 전문가 양성외에도 증권과 보험부문의 10여명에 달하는 전문가를 영입했고 추가 영입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자체 전문 교육을 통해 자격증을 소지한 재무설계사는 일정기간 이직을 규제하는 전속계약. 이른바 이직할 경우 위약금을 문다는 이면계약 강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일부 은행은 삼성생명이나 대형 보험사의 재무설계센터 관리대상 계약자의 평균 관리자산이 수십억원에 이르러 이들을 스카우트할 경우 방카슈랑스 고객으로 연결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VIP고객을 확보할수 있다는 장점때문에 파격적인 조건을 내세워 재무설계사 스카우트에 나서고 있다. 국민,신한,하나은행도 이들 전문가 영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더욱이 PB화를 선언한 서민금융기관인 저축은행도 은행의 세무, 부동산, 펀드, 보험등의 전문가 영입에 나서고 있다. 또 증권사나 보험사도 은행의 PB 전문가를 대상으로 영입작업에 나서 금융권의 인재 스카우트전이 춘추 전국시대를 방불케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인력 손실이 큰 보험사는 보유 계약 관리의 어려움과 잠재고객의 이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 외에도 해외 연수(유학) 등을 통해 보험사가 공들여 양성한 이들 스카웃 대상 인력을 대거 빼앗김으로써 상당한 손실에 대비, 위약금제도를 서둘러 도입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거래 고객에 비해 이를 관리하는 전문가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재무설계사는 고작 1만700여명. 하지만 금융권 거래규모는 지난해말 기준 은행 수신 549조원, 여신 477조원, 증권 800만계좌, 보험 7100만여건, 저축은행 수신 44조원, 여신 143조원에 달해 그동안 주먹구구식 고객관리로 일관했다는 분석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권역간 적정수준의 인력 이동은 조직의 활성화 차원에서도 필요하지만 필요이상으로의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 서로 출혈경쟁으로 인한 과다 비용지출이라는 부작용이 속출할수 있다면서 자체 인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neths@fnnews.com 현형식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