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비자발적 이직자 외환위기 이후 두배 증가

노종섭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7.02.27 10:55

수정 2014.11.13 15:50


개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직장을 떠나는 이직자 수가 외환위기 이후 7년만에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6일 발표한 ‘비자발적 이직 실태 및 전직 지원’ 보고서에 따르면 비자발적 이직자수가 지난 98년 61만4992명에서 2005년에 124만8681명으로 크게 늘었다.

전체 이직자 가운데 비자발적 이직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98년 31%에서 2002년 22.9%로 감소했으나 2003년 이후 다시 상승곡선을 그려 2005년에는 33.5%에 달했다.

보고서는 ‘회사사정에 의한 퇴직권유’, ‘(근로)계약기간 만료, 공사종료’, ‘폐업, 도산, 공사중단’ 등의 사유에 따른 이직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경영상 필요에 의한 퇴직(정리해고)’은 2002년 이후 증가추세이지만 외환위기 직후인 98년에 비해서는 절반 이하 수준으로 조사됐다.

특히 전체 이직자 가운데 비자발적 이직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남성 32.1%, 여성 40.4%로 나타났고 연령은 50대 이상에서, 학력은 중졸 이하 집단에서 높게 나왔다.


반면 지난 2001년 도입된 전직지원장려금제도의 지원실적은 2004년 31개 사업장에 2696명, 2005년 28개 사업장 1440명에 불과하고 공공기관이나 단체를 통한 전직지원실적도 극히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상의는 미국, 유럽 등에서 정착되어 있는 전직지원서비스(outplacement services)의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전직지원서비스는 비자발적으로 퇴직하거나 퇴직할 예정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재취업, 창업 등을 지원하는 서비스다.

보고서는 전직지원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퇴직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경력관리시스템의 구축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 역시 전직지원서비스의 지원대상을 개별기업 차원에서 비자발적 이직자 전체를 대상으로 확대하고 고용지원센터의 전직지원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퇴직자들의 경력을 종합적으로 관리,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완비하는데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njsub@fnnews.com노종섭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