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후불량 주택이 밀집해 서울의 대표적인 낙후지역으로 꼽혀왔던 영등포구 신길동 일대 신길 뉴타운(위치도)이 오는 2015년까지 1만8000여가구의 대단지 아파트촌으로 재개발 된다.
서울시는 최근 도시재정비위원회를 열어 영등포구 신길동 236일대 146만9910㎡의 신길지구(신길뉴타운)에 대한 재정비촉진계획을 통과시켰다고 28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이곳에는 1만8845가구의 아파트가 건설돼 인구 5만여명이 사는 친환경 디자인 도시로 새롭게 태어난다.
계획에 따르면 신길뉴타운에는 3.4㎞ 순환형 도로가 조성되고 도로 주변에는 공공시설과 근린시설이 들어선다. 생활중심 도로인 가마산길에는 쇼핑 등 복합시설이, 정보특성화 가로인 신길로에는 정보문화도서관이 배치된다.
대기질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동사무소, 도서관, 종합복지센터 등 공공 신축건물과 공동주택 등의 민간 신축건물에는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도록 하고 민간 신축건물에 대해서는 친환경 인증점수가 일정 점수(70점) 이상일 경우에는 용적률 인센티브도 받을 수 있다. 현재 2.4% 수준인 공원녹지비율은 지구 전체 면적의 10% 이상으로 대폭 늘어나고 근린공원(5개)과 마을공원(5개)을 연결하는 순환형 녹지체계가 구축돼 주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도시 미관을 위해 아파트는 중·저층 및 탑상형, 판상형 아파트를 혼합 배치하고 광고물도 규격, 색채, 위치, 수량, 글자체 등이 서울시의 가이드라인에 맞춰진다. 도서관, 종합복지센터, 문화시설 등 5곳이 신설되고 과밀학급 해소와 교육 수요 충족을 위해 중학교 1곳도 추가로 신설된다.
서울시는 효율적인 재개발사업 추진을 위해 뉴타운을 총 16개 구역으로 나눠 정비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16곳 중 15곳(재개발 13곳, 재건축 2곳)을 촉진구역으로, 1곳은 존치정비구역으로 지정해 단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신길재정비촉진계획이 29일 결정, 고시되면 이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촉진구역별로 공사 착수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신길지구는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될 경우 2015년에는 5만여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서울 서남부 지역의 대표적인 친환경 도시로 거듭날 전망이다.
/jumpcut@fnnews.com 박일한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