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야권 “최시중 방통위원장 내정자 교체” 촉구

청와대가 이명박 대통령의 최측근인 최시중 전 한국갤럽 회장을 초대 방송통신위원장으로 내정한 것에 야권이 3일 ‘청와대의 방송통신 장악 의도’라며 거세게 반발하고 나섰다.

특히 야당으로 전락했지만 아직 원내 제1당인 통합민주당은 최 내정자의 교체까지 요구하고 나서 이 문제가 정치쟁점화할 전망이다.

손학규 민주당 공동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은) 방통위는 독립적이고 중립적인 기구로 만들자고 주장했으나 정부의 순조로운 출범을 위해 대통령 직속기구로 들어가는 것을 받아줬다”면서 “그런데 6인위원회 멤버를 방통위원장으로 둔 것은 대단히 잘못된 것”이라고 재고를 촉구했다.

김효석 원내대표도 “참여정부가 출범 초기에 KBS 사장에 서동구씨를 임명했지만 노무현 대통령의 언론특보란 이유로 중도하차했다”면서 “방송과 통신 모두를 책임지는 위원장에 최측근 인사를 밀어붙이는 것을 좌시하지 않겠다”며 최 위원장 내정자의 교체를 요구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런 인사를 계속하면 국민적 저항운동을 전개할 것임을 경고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상호 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만일 노무현 전 대통령이 방송 전문인이라고 해서 이기명 후원회장을 방통위원장에 임명했다면 한나라당이 잘했다고 했겠느냐”면서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때도 당시 박근혜 캠프에 유리하게 나온 여론조사 발표를 중단시켜 문제가 됐던 사람을 , 공정성과 중립성을 지켜야 할 방통위원장으로 내정하는 것은 도저히 받아들일수 없는 일”이라며 교체를 요구했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도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공정성을 유지해야 할 초대 방송통신위원장에 자신의 최측근인 최시중씨를 내정한 것은 문제가 된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민주노동당 박승흡 대변인은 “방송통신위원장이란 자리는 방송과 통신의 중립성과 공공성을 강조하고 조절하고 지휘하는 자리”라면서 “당연히 중립적이고 독립적인 인사가 위원장이 돼야 함에도 이명박 정부는 방송위를 대통령 직속기구로 만들고 위원장에 현 정권의 핵심실세로 알려진 최씨를 내정했다”며 최 내정자의 교체를 촉구했다.

/rock@fnnews.com최승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