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새정부 ‘747’공약 실현하려면] ‘안방 수성’ 넘어 글로벌 M&A 눈돌려야

조창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8.03.06 16:15

수정 2014.11.07 11:42



글로벌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한 기업들의 각축전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기업들이 내수시장에 치중하던 단계를 넘어서 이제는 국경 없는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타 국가에 거점 신설, 인수합병, 전략적 제휴 등 3가지 글로벌 확장 전략을 쏟아내고 있다.

외환위기 파고를 넘은 국내 기업들도 밀려드는 해외기업들의 공세에 맞아 이제는 ‘안방 수성’ 전략을 버리고 글로벌 기업으로의 비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소위 ‘기업이 바로 서야 나라가 선다’는 시대를 열고 있는 이명박 정부 출범을 맞아 향후 5년간 1인당 국민소득 4만달러 달성을 위한 기업들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무거워졌다.

경제 전문가들은 한국 경제가 초일류 선진국 반열에 서기 위해서는 현재 10대 그룹에 편중된 글로벌 기업 육성 전략만으로는 어렵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글로벌 대기업을 다수 확보함과 동시에 핵심 역량을 갖춘 우량 중소기업 가운데서도 글로벌 역량을 갖춘 곳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 글로벌 플레이어 육성 전략이 맞아떨어질 때 경제성장 7% 달성과 고용 유발 효과 및 국부 창출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2000년 세계 19개 업종 상위 5개 업체의 3분의 1 이상이 2005년엔 5위권 밖으로 밀렸다. 또한 지난 2005년 세계 42개 업종의 빅3 기업 중 27곳은 2000년만 해도 해당 분야에서 ‘글로벌 빅3’를 보유하지 못한 국가의 기업이었다.

기업의 흥망성쇠 주기가 빨라졌으며 기업의 성공이 그 나라의 경제 수준을 좌우하는 시대가 왔음을 보여 주는 대목이다.

한국 기업 중에선 삼성전자가 2005년에 유일하게 글로벌 빅3에 새로 포함될 정도로 갈 길이 멀다. 국내 수출액의 3분의 1 정도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에서 글로벌 기업 탄생을 기대하는 것도 시급한 실정이다.

■국내 대기업 글로벌 도약 분발해야

국내 기업 가운데 세계 톱 클래스로 내세울 만한 기업은 여전히 손에 꼽을 정도다.

국내 기업은 절대적으로는 세계화를 위해 달려가고 있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실속이 없다는 평가다. 실제로 우리나라 주요기업의 다국적지수(TNI)는 매년 전반적인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순위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TNI지수는 세계 각국 주요 기업의 세계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국제연합무역개발협의회(UNCTAD)가 매년 발간하는 지수다.

또한 지난 1994년부터 2002년 동안 개발도상국의 50대 다국적 기업으로 선발됐던 한국 기업 총 9개 가운데 5개는 말려나고 4개가 남았다. 구체적으로 ㈜대우, 현대건설, 동아건설, 선경그룹, 포스코 등이 밀려났으며 삼성전자, LG전자, 삼성물산, 현대차는 여전히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달리 해외 글로벌 기업 중에는 M&A로 몸집을 불려 강자로 급부상한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인도 철강업체 미탈은 2006년 철강업계 2위인 프랑스 아르셀로를 인수해 생산량을 1억1800만t으로 늘려 단숨에 세계 1위에 올라섰다. 세계 2위와 3위인 일본의 신일본제철(3370만t)과 JFE스틸(3200만t)이 따라잡기 힘든 수준이다.

프랑스 제약회사인 ‘사노피-아벤티스’는 무려 300여 차례의 M&A를 통해 세계 3위로 우뚝 섰다. 중국 레노보는 2005년 미국 IBM의 개인용컴퓨터(PC) 사업부를 인수해 세계 3위의 PC제조업체로 거듭났다.

이 같은 전 세계 경제 전쟁에 맞서 국내 대기업들이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각 업종별 글로벌 순위에서 상위 10위권 이내에 들어가는 기업들이 다수 등장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삼성, 현대차, LG, 포스코와 같은 글로벌 대기업을 수십개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내 기업 중 중견 그룹들의 분발이 요구된다. 국내 중견그룹 가운데 재계 10∼30위권에 속하는 기업들이 혁신과 가치창조를 통해 거듭날 때 비로소 ‘글로벌 1등 코리아’ 비전 달성이 가까워지는 것이다.

■글로벌 중소기업 육성도 시급

그러나 경제 전문가들은 대기업에 절대 의존하는 경쟁 전략엔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대기업의 글로벌 경영에 따른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커지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동반 성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또한 글로벌 기업도 매출의 규모도 중요하지만 핵심경쟁력을 갖춘 우량 중소기업도 글로벌 기업으로 분류된다.

지난해 참여정부에서는 2015년까지 자동차산업 세계 4위,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디지털TV와 휴대전화, 조선부문 세계 1위, 섬유산업에서는 세계 4위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이 같은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 대기업을 수십개 만들어 내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같은 완성제품을 만드는 과정에 필수적인 부품 관련 업체들의 글로벌 경쟁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수익성이나 경쟁력에서 밀린다.

이에 각 업종별로 글로벌 톱 10에 들어갈 수 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 육성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업종별로 글로벌 톱 10에 들어가는 국내 기업을 100개만 확보할 수 있다면 인프라부터 견고한 경제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


더구나 글로벌 기업 대량 육성을 위해서는 기존의 선진국 따라잡기형 전략으로는 불충분하다는 지적이다. 오히려 창조 혁신 주도형 정부 지원과 기업의 과감한 해외 투자 및 진출 전략이 맞아떨어져야 글로벌 기업의 탄생이라는 결실을 맺을 수 있다는 것이다.


재계 관계자는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전략으로 디스플레이와 로봇, 나노기술 등 15대 전략분야 기술을 개발하는 식의 분명하고 차별화된 글로벌 기업 육성전략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jjack3@fnnews.com조창원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