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섬산연,섬유산업 부활위해 협력 강화”노희찬 회장

한국섬유산업연합회가 ‘섬유산업 부활’을 위해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중앙회 등 각종 경제단체들과 협력을 강화한다. 또 오는 2015년에 세계 3∼4위 섬유수출국으로 재도약하기 위해 1조500억원대의 정부 지원이 필요한 ‘섬유 특별법’ 추진과 함께 개성산 섬유제품의 ‘한국산’ 표기 등에도 섬산련이 앞장서기로 했다.

노희찬 제11대 섬산련 회장은 10일 서울 반포동 섬유센터에서 취임식 뒤에 가진 기자회견에서 ‘섬유강국 부활’에 필수적인 대·중소기업 협력 및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조기발효 등을 위해 경제단체장들과 협력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 회장은 이날 “조석래 전경련 회장을 만나서는 대중소 섬유기업간의 협력방안을, 김기문 중기중앙회 회장과는 개성공단 사업 등에 관한 논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남북 섬유산업 경제협력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해 개성공단 진출 섬유업체 활성화 함께 개성산 섬유제품의 ‘한국산’ 표기 등에도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희찬 회장의 경제 5단체장들과의 만남은 이달 중순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노 회장은 특히 섬유업계의 가장 큰 현안인 ‘섬유 특별법’ 제정에 사력을 다할 것을 이날 섬산련 직원들에게 주문했다. 노 회장은 이날 기자회견에 앞선 섬산련 직원들과의 첫 만남에서 “정부와 함께 섬유산업 구조혁신 전략을 추진하기 위해서 ‘섬유 특별법’ 제정에 나서자”고 가장 먼저 강조했다.


‘섬유 특별법’은 섬유산업의 부활 등을 위한 구조개혁에 필요한 예산 1조8400억원(정부 예산 1조500억원)을 지원받기 위한 것으로 경세호 10대 섬산련 회장이 지난해 적극 추진했지만 세계무역기구(WTO) 통상마찰 등의 문제 때문에 국회에서 계류 중이다.

노 회장은 이날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1월에 대구상공회의소 초청 강연회 때 한나라당 차원에서 섬유산업에 대한 재정지원을 약속한 적이 있다”며 특별법 통과에 대한 기대감을 내보였다.

그는 아울러 “서울대 등 외부용역 결과 정부의 섬유업계에 대한 지원이 WTO 통상문제에도 영향이 없음을 확인했다”면서 “총선이 끝나고 18대 국회가 되면 합리적으로 (특별법을) 꼭 재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ainman@fnnews.com김경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