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낙동강 연안지역이 ‘산악 생태권’ ‘역사문화체험권’ ‘도심레저권’ 등 3개 권역으로 나눠 개발된다.
경북도는 13일 도청 강당에서 열린 ‘낙동강 프로젝트 기본계획 최종 보고회’에서 2020년까지 2조130억원을 투입, 낙동강 연안을 종합개발하는 기본계획을 밝혔다.
계획안에 따르면 낙동강 본류 10개 시ㆍ군과 지류 5개 시ㆍ군을 3개 권역으로 나눠 특화 개발해 지역 경제발전의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새로운 문화권의 중심으로 구축할 방침이다.
우선 제1권역인 봉화, 영양, 안동, 영주, 청송 일대를 청정자원과 전통문화 자원을 활용한 ‘산악 생태권’으로 개발하고 제2권역인 예천, 의성, 문경, 상주 일대를 체험과 휴양으로 특화한 ‘역사문화체험권’으로 조성한다는 것.
제3권역은 구미, 군위, 김천, 칠곡, 성주, 고령을 중심으로 학습과 문화를 중심으로 한 ‘도심레저권’으로 각각 만든다는 구상이다.
특히 낙동강 연안을 자전거와 조깅, 마라톤, 승마 등 국민 레포츠의 메카로 만들고 진입공간과 휴게공간에는 특산물 판매장, 비지터센터, 소규모 야외공연장 등이 들어서는 ‘회랑형 에코트레일’을 총 289㎞ 구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즉 각 권역별 중심지구에 ‘에코 컬쳐 센터’를 건립해 자연생태 및 역사문화 자원을 관광으로 연결하고 컨벤션 기능을 부여해 지역의 부족한 비즈니스 공간으로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또 예천과 문경, 상주의 접경지역에는 ‘낙동강 상징타워’가 들어선다.
이 타워는 낙동강의 경관을 조망할 수 있고 번지점프 등의 레포츠 인프라로 활용하며 인근의 삼강 주막, 회룡포, 경천대 관광지 등과 연계한 새로운 관광벨트로 개발하게 된다.
이를 위한 재원 확보는 총 투자비 2조130억원 중 국비 40%, 지방비 40%, 민자 20%를 투입하는 것이 기본계획이지만, 경부운하 배후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방안이나 유교문화권 개발사업의 후속사업으로 제안해 이를 국책사업화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사업 진행은 먼저 2013년까지 1단계 사업을 진행한 후 2단계 사업을 2020년까지 진행하는 등 단계별로 사업을 추진해 지방재정에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경북도는 이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경우 직접적 사업비 투자로 인한 2조9914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1조194억원의 임금유발효과, 1조2941억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2만9330개의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사업비 투자와는 별개로 관광객 지출액에 의한 생산유발효과 8조8426억원과 3만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 등의 간접효과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낙동강 프로젝트는 신라, 가야, 유교에 이어 경북의 또 다른 문화권을 만들어 가는 웅대하고 중요한 작업”이라며 “앞으로 낙동강 연안의 개발을 통해 지역발전을 위한 새로운 동력으로 삼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대구=kjbae@fnnews.com배기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