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물 조합의 납품 중단 사태에 이어 레미콘·아스콘·플라스틱조합의 생산 중단 등 중소기업계의 잇단 단체행동이 예고되면서 산업계 전반에 빨간불이 켜졌다.
주물 조합은 17일부터 2차 납품중단에 이어 4월부터는 무기한 중단을 예고한 가운데 레미콘 업계도 이번 주 파업을 예고하고 아스콘·플라스틱 업체까지도 이달 말부터 단체행동을 계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물업체들의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우선 완성차의 생산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홍석우 중기청장은 대통령 업무보고회에서 ‘원자재 가격 납품단가 연동제’ 추진을 제안하는 등 정부에서도 긴급 대책 마련에 나섰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현대 기아차, GM대우, 르노삼성 등 완성차 업체들이 보유 중인 부품 여유분은 7일치 정도인 가운데 주물업계 파업이 1주일 이상 지속될 경우 완성차 출고 및 생산 지연은 불가피하다.
이 같은 상황에도 불구, 현대 기아차를 제외한 완성차 3사는 이렇다할 대응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GM대우, 쌍용차 등은 주물조합의 2차 납품 중단에 이어 오는 4월에도 장기 파업을 예고하고 있으나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지 않고 있다.
기계, 조선업계도 이번 사태가 남의 일만은 아니다.
조선업체들의 경우 주물 제품이 전체 부품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는 않지만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생산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통상 2∼3개월씩 재고를 쌓아놓고 있어 주물 업체 파업으로 당장 조업 차질이 일어나지는 않겠지만 4월 이후까지 장기화할 경우는 상황이 달라진다”며 피해를 예고했다.
대기업들의 상황이 이렇지만 주물업계는 ㎏당 ‘100원의 인상안’을 관철시키지 못하면 연간 600억원가량의 손실이 난다고 주장하면서 장기 파업까지 예고하고 있다.
인천 경서 주물공단의 경우 이날 2차 납품 중단에 돌입한 가운데 공단 곳곳에 플래카드를 내걸고 대기업으로 제품이 출고되는지 업체 간 ‘상호 감시’를 할 정도로 분위기가 냉각돼 있다. 경북 다산 주물공단과 경남 진해·마천 주물공단에서도 주물 제품을 실은 차량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고있다.
레미콘 업계들도 공공구매제도 개선 등을 요구하는 조건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오는 19일부터의 가동 중단을 결의한 상태다.
아스콘 업계도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t당 1만원가량의 인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단체 행동을 예고했으며 플라스틱, 제관 업계도 단가 인상을 강력 요구하며 단체 행동에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중앙회의 김기문 회장은 이날 원자재값 파동으로 촉발된 중소기업계의 잇단 단체행동에 대해 대기업과 정부의 결단을 촉구했다. 김 회장은 기자들과 만나 “‘실질적인’ 상생 협력을 모색하기 위해 전경련 회장단과 중기중앙회 회장단의 간담회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산업1·2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