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은 미국의 UDC사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자구조 개발을 위한 ‘상호개발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OLED’는 전자와 정공이 움직이는 유기공통층, 실제 빛을 발하는 발광층, 유리기판 등 보통 6∼7개 층으로 구성돼 있다.
LG화학은 이번 계약체결로 자사가 갖고 있는 OLED 유기공통층 기술을, UDC는 인광 발광층 기술을 상호간 제공하고 교차 시험을 진행, 고효율 OLED 소자구조를 개발할 계획이다.
‘유기공통층’이란 전자와 정공을 발광층으로 옮겨 주는 물질층으로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등이 있다.
LG화학이 지난 2002년 개발한 유기공통층은 낮은 전압에서도 전하 수송이 가능해 기존 제품보다 수명이 긴 장점을 갖고 있다.
UDC사의 인광 발광층은 전자(-)와 정공(+)이 만나 실제 빛을 내는 물질층으로 기존 형광 발광층에 비해 4배의 효율을 낼 수 있다.
LG화학 기술연구원장 유진녕 부사장은 “이번 계약을 통해 그동안 끊임없이 지속되어 온 OLED 물질 개발의 속도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각 분야에서 최고의 실력을 갖춘 두 회사인 만큼 공동연구에 따른 시너지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관련업계에서는 OLED가 향후 TV 등 대형 디스플레이와 조명 부문 등으로 빠르게 확산돼 오는 2012년까지 관련 시장이 6조5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shower@fnnews.com이성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