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가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경제규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기업 10곳 가운데 8곳 이상이 구체적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1월말부터 만 13세 이상 일반국민 1000명, 246개 광역.기초단체 정책담당자, 제조업 운수업 등 500개 사의 관리자 급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의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조사결과, 이산화탄소 감축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기업은 전체의 6.0%에 불과했고 향후 실시 계획이 있는 업체도 7.6%에 그쳤다. 나머지 86.4%는 계획조차 세우지 않고 있었다.
“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상시근로자 50인 미만 소기업에서 89.8%, 100인 미만 76.0%이었으며, 특히 300인 미만 기업에서 91.8%로 가장 높았다.
대기업도 사정은 마찬가지로, 300인 이상 대기업 13곳 가운데 9개 업체(69.2%)가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지 않으며 이중 1개 업체만 향후 실시할 계획이 있고 나머지 8개 업체는 계획조차 없었다.
이 같은 안이한 대처의 밑바탕에는 우리나라의 의무감축 부담이 선직국보다 낮을 것이라는 근거없는 전망이 자리잡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인 우리나라는 국제사회로부터 선진국 수준의 의무감축 요구를 받고 있으며 조사대상 지자체들은 47.8%가 요구대로 따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산업계는 OECD 국가보다 약간 낮은 수준의 의무를 질 것이라는 예상이 38.2%로 가장 많았고 “개도국 수준”이라는 답이 22.6%, “의무가 없을 것”이라는 응답도 11.0%나 됐다.
온실가스 감축 의무 부담 시 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60% 이상이 “영향 없다”고 답했다.
더구나 온난화 방지을 위해 누가 노력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일반인들은 개개인이 노력해야 한다는 성숙된 인식을 보인 반면, 기업은 “정부가 해야한다”는 답이 54.6%로 가장 많았고 ‘개인’은 25.2%, “기업 스스로 해야한다”는 응답은 15.0%에 그쳤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에서 전반적으로 산업계의 인식이 부족하다는 결과가 나와 홍보를 강화할 필요성을 느낀다”며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khchoi@fnnews.com최경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