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李대통령, ˝교육부가 교육기관에 군림˝ 질타

이명박 대통령은 20일 “교육부가 대한민국 모든 교육기관에 너무 군림해 왔다. 대학도 모든 교육기관들이 교육부 앞에서 숨도 제대로 쉬지 못할 정도였다”며 과거 교육부를 질타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전 대덕연구단지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열린 교육과학기술부 업무보고에 참석해 “새로운 교육과학기술부는 대학, 초·중·고의 현장 이야기를 많이 듣고, 활기 띄워 자율적으로 할 수 있는 분위기 만들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특히 “이제까지는 학생들만 피나게 경쟁했다. 학부모도 경쟁했다”면서 “그러나 학교는 경쟁한 일이 없다. 선생님도 경쟁할 필요가 없었다. 이래가지고는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사교육비가 많이 들어가는 게 큰 문제인데, 공교육을 정상화시키는 정책을 펴면 시간이 걸리겠지만 사교육에 대한 대책 나올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영어 몰입교육에 대한 세간의 오해에 대해서도 이 대통령이 직접 해명했다.

이 대통령은 “영어로 몰입교육 한다고 해서 ‘우리 아이들을 영어 과외 더 시켜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오해가 생겼다”면서 “영어 몰입교육이라는 것은 해서도 안 되고, 할 수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영어 공부는 과외를 받지 않더라도 학교에서 차이가 나는 아이들이라도 편안하고 재미있는 영어교육을 시킬 수 있도록 안을 만들어서 발표해야 한다”면서 “초등학교의 적절한 학년에서 영어 시간을 좀 더 하자, 1주일에 한 시간, 두 시간 하던 것을 좀 더 늘려서 효과적으로 수업을 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입문제에 대해서 이 대통령은 “교육부가 적극 검토해서 자기 소질에 맞춰 자기가 전공하려는 분야에 잠재 능력이 있으면 현재 성적이 좀 낮더라도 대학에서 뽑아주는 제도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과학기술 분야 육성과 관련, “결과를 낼 수 있는 우수한 대학이나 연구기관에 대해서는 좀 파격적으로 지원해 더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한다”면서 “더 잘할 건 더 잘할 수 있도록 만들고 뒤에 있는 것은 끌어올리는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courage@fnnews.com전용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