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규모의 피혁단지인 부산 사하구 신평·장림공단 업체들이 기준치를 초과한 폐수공동처리장 악취 문제에 따른 행정처분을 앞두고 전전긍긍하고 있다.
20일 부산시 및 업계에 따르면 보건환경연구원이 피혁단지 내 폐수공동처리장의 악취를 측정한 결과 검사항목 3가지 모두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2일 밤 10시 기준 측정 악취 정도는 복합악취의 경우 사업장 부지 경계 기준치 ‘20’을 1.5배 이상 초과한 ‘31’이 나왔으며 황화수소 포함한 농도는 기준치(0.06ppm)를 5배 이상 넘긴 0.33ppm으로 측정됐다.
또 폐수공동처리장 굴뚝에서 이날 오전 11시께 측정한 악취도 복합악취 배출구 기준치 ‘‘1000’을 3배 초과한 ‘3000’이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관할 사하구청은 이에 따라 피혁조합에 14일 내에 청문회를 열어 피혁조합측이 소명할 수 있는 기회를 준 뒤 타당한 이유를 제시하지 못할 경우 폐수공동처리장 가동정지 등 행정처분을 내릴 예정이다.
신평·장림공단 내 피혁단지 내 업체들은 이로 인해 가동 중지 명령이 내려질 경우 업체 줄도산이 우려된다며 피혁조합을 중심으로 크게 반발하고 있다.
피혁조합 관계자는 “악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름대로 노력하면서 개선하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검사 결과가 나왔다고 해서 모든 공장의 가동 중단을 의미하는 조치가 내려지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만약 공장이 멈춘다면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제품을 만들고 있는 대다수 업체들에 바이어가 발길을 돌려 줄도산은 명확한 일”이라고 말했다.
단지 내에 있는 업체만 모두 69개사로 대다수는 해외에서 천연 가죽을 수입해 신발용 가죽으로 가공한 뒤 수출해 연간 4000억여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고 종사자만도 2000여명에 이른다.
이에 대해 사하구청 관계자는 “폐수처리장 가동 중지 명령을 내리면 업체가 반발하고 그렇다고 행정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환경민원을 제기한 주민들이 반발할 태세여서 난감하다”면서 “일단 행정절차법에 따라 청문회를 개최, 피혁조합의 의견부터 들어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부산=victory@fnnews.com 이인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