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코스콤 ‘비정규직 사태’ 실마리 찾을까



코스콤 차기 사장으로 전 현대정보기술 상무를 역임한 김광현씨가 내정됨에 따라 비정규직 파업사태 해결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3일 코스콤과 증권노조 코스콤비정규지부에 따르면 비정규직 파업은 지난해 9월12일부터 이날까지 388일째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새 사장 취임 이후 사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될 전망이다. 1년 넘게 끌어 온 코스콤 비정규직 파업사태를 마무리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타협점은 쉽지 않아 보인다.

비정규지부가 74명 모두 완전고용을 주장하고 있지만 코스콤 측은 ‘직원으로 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스콤은 지난 7월 서울 남부지법이 “코스콤이 비정규직원의 사용자 지위에 있다”는 판결을 내렸지만 “직원으로 보기 힘들다”는 항소를 한 상태다. 결국 2년 넘게 걸리는 대법원 판결까지 가야 해결이 가능한 셈이다.

코스콤 관계자는 “새로 취임하는 사장이 적극적인 해결 노력을 보일 것이지만 해결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코스콤 정규직노조의 양보와 비정규직노조의 전향적인 방향전환이 없을 경우 해결되기 힘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규직노조가 비정규지부 노조원들의 고용에 대해 양보하지 않을 경우 해결점을 찾기 힘들다는 것이다. 여기에 한국노총 소속의 정규직노조와 민주노총 산하의 비정규지부간 힘겨루기도 숨어 있다.


하지만 코스콤 비정규직지부는 새 사장이 취임하면 대화 창구가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비정규지부는 지난 3일까지 모두 45차례에 걸쳐 코스콤 측에 교섭 공문을 보냈지만 이뤄지지 않았다.

비정규지부 정인열 부지부장은 “그동안 코스콤 측은 사장이 공석인 상태여서 교섭을 할 수 없다는 주장을 했다”면서 “새 사장이 취임하면 교섭이 이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sdpark@fnnews.com 박승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