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이상한 세금…세금 올리니 양극화도 심화



정부가 지난 10년간 복지 정책을 위해 세금을 많이 걷었지만 소득 불평등은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기획재정부가 한나라당 김성식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조세부담률은 지난 1998년 17.5%에서 2007년 22.7%로 5.2%포인트 높아졌다. 같은 기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조세부담률이 26.7%에서 26.8%로 거의 오르지 않은 것을 감안하면 크게 오른 것이다.

세제 형평성을 높이는 직접세 비중도 5년간 크게 늘어났다. 한나라당 박종근 의원이 재정부 국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직접세 비중은 2003년 53.1%에서 2007년 58.7%로 늘어났다. 소득에 따라 내는 직접세가 늘어나면 국민들의 소득 불평등이 완화된다.

그러나 이 같은 조치에도 우리 사회의 양극화는 심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분배의 불균형을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2004년 0.344에서 2007년 0.352로 늘어났다. 지니계수는 0에서 1의 값을 갖는데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 정도가 크다. 중산층 비중도 1995년 73.8%에서 지난해 66.3%로 줄었다.


불로소득 성격이 짙은 금융소득도 여전히 많았다. 한나라당 이종구 의원에 따르면 2006년 귀속분 금융소득 종합과세 전체 인원은 3만5924명, 이들의 금융소득은 총 6조8600억원이었다. 이들 중 5억원 이상 금융소득자 2105명의 금융소득은 3조5016억원으로 전체 금융소득종합과세 소득의 51.05%에 이르렀다.

/star@fnnews.com 김한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