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 증시급등 환율급락, 한 풀 꺾인 ‘공황’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8.10.13 21:52

수정 2014.11.05 11:22



증시 급등, 환율 급락, 한 풀 꺾인 ‘공황’

끝없는 추락세를 보이던 유가증권거래소와 코스닥 시장이 동시에 급등세로 돌아섰고 사상 유례없는 폭등세를 이어가던 환율은 급락함으로써 금융시장이 일단 진정되는 기미를 보이고 있다. 직접적인 요인으로는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소방수’를 자청, 라디오 연설을 통해 신뢰를 강조하면서 흑자도산이 없도록 중소기업을 지원하라고 은행에 요구한 점을 꼽을 수 있다. 환율 하락은 시중은행의 외국은행과의 거래에 대해 정부가 100% 지급보증을 함으로써 은행 발목을 잡았던 ‘외환 유동성과 신용경색’에 물꼬를 튼 데 힘 입은 바가 크다.

증시가 오름세로, 환율이 내림세로 돌아 선 것은 일단 긍정적이지만 이를 곧바로 금융위기 해소로 볼 수 없는 것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적어도 신용경색과 유동성 부족에서 비롯된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해 각국 정부가 신용을 보증하고 돈을 풀기 시작한 이상 조만간 안정을 되찾을 것으로 봐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일각에서는 워싱턴의 G7, G20 재무장관 회담이 실질적인 액션 플랜을 내놓지 못했다고 실망하고 있으나 적어도 국제공조 원칙을 천명한 것만으로도 할 일을 다했다고 평가해야 한다.


워싱턴 회담 직후 유럽연합과 영국이 공동으로 은행 지분 매입을 포함한 대책을 마련한 것이나 일본 정부와 중앙은행이 시중은행 주식 매각을 보류한 것 역시 글로벌 금융위기 해소를 위한 최선의 대책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라디오 연설을 비롯해 시중은행 달러 거래 신용보증, 환투기 세력 단속 등도 국내 금융시장 안정책인 동시에 글로벌 공조에의 대응책이다. 어제 증시와 외환시장 동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배경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각국이 특성에 맞춰 내놓는 대책이 상품과 자본의 흐름을 제한하는 것이 돼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고립주의와 보호주의로는 이미 상당 수준으로 진전된 글로벌 시장 질서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금융시장이 연착륙하더라도 이에 연유한 실물경제의 위축은 상당 기간 이어진다는 점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당장은 금융시장에 나타난 진정 기미를 무리 없이 확산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함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