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위기 영향 아직 제한적” 강만수 장관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스티븐 로치 모건스탠리 아시아 회장, 로버트 루빈 씨티그룹 고문(전 미국 재무장관), 존 윈컬리드 골드만삭스 사장 등 국제 금융계 주요 인사들과 잇따라 만나 최근 국제금융 상황을 진단하고 대응방향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강 장관은 로치 회장을 만난 자리에서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가 전 세계로 확산된 상황에서 선진국뿐 아니라 개도국도 포함하는 전 세계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로치 회장은 “현재 상황은 시장위기일 뿐 아니라 지도력 위기 상황이기도 하기 때문에 모든 정책당국의 적극적인 공조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강 장관은 루빈 고문과 면담에서는 “미국발 금융위기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수출다변화 등으로 아직까지 제한적이며 유가 상승으로 인한 경상수지 적자도 10월부터는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되는 등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다만 신용경색 장기화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 가능성에 대해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이어 윈컬리드 사장과 면담에서 “최근 국내 은행들의 외화유동성 상황과 관련해 외환위기 때와는 달리 통화·만기의 미스매치 없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윈컬리드 사장은 해외차입시장이 내년 초에는 열릴 가능성이 있으며 지금은 금리보다는 유동성에 중점을 두고 장기자금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에 앞서 강 장관은 4개 주요 은행의 이코노미스트들을 초청, ‘국제금융간담회’를 열고 글로벌 신용경색 향방에 대해 의견을 청취하는 한편 한국정부의 정책대응방안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이 자리에서 씨티그룹의 루이스 알렉산더 이코노미스트는 “미국발 금융위기가 당초 선진국만의 문제로 인식됐지만 전 세계로 확산됨에 따라 이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신흥국을 포함한 전 세계적인 금융시장 안정노력이 있어야 한다”며 “재정흑자를 보이고 있는 한국은 감세, 재정지출 확대 등 적극적인 정책대응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스티븐 킹 HSBC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선진국들의 은행 국유화 조치에 따라 이들 은행이 국내 대출 위주로 자금을 운용할 가능성이 높아 개도국에 대한 대출이 감소할 수 있다”고 지적했으며 브루스 캐즈먼 JP모간 이코노미스트는 “세계경제는 리먼브러더스 파산 이전부터 침체되기 시작했으며 과거 경제위기 경험에 비춰 볼 때 내년 중반이 회복시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 장관을 만난 헨리 페르난데스 모건스탠리 캐피탈 인터내셔널(MSCI) 사장은 “한국이 신흥국지수에서 선진국지수로 편입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외환자유화 노력을 지속하고 외국인 주식투자제도를 선진국 수준으로 격상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강 장관은 “해외투자자들의 애로사항을 수렴하는 한편, 한국의 관련제도 취지와 목적을 적극적으로 설명하겠다”고 답했다.

/shs@fnnews.com 신현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