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인천 국가균형발전은 반대 관내균형발전은 찬성(?)

인천시가 ‘선 지방 육성’을 골자로 한 국가균형발전정책에 반대하면서 2014년 아시아경기대회 개최를 명분으로 관내 균형적 발전을 위해 주경기장 신설을 요구하고 있어 ‘이율배반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행정안전위 소속 한나라당 김성조 의원이 16일 인천시 국감 자료에서 “인천은 수도권 규제완화에는 찬성하고 국가균형발전정책에 대해선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면서 “그러나 인천시는 관내 균형발전과 아시안게임을 핑계로 관내 남부지역에 종합운동장 시설이 있는데도 북부지역에 종합운동장 신설을 요구하는 이율배반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국가균형발전에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한 인천시가 종합운동장 신설을 근거로 인천 남부와 북부의 균형 발전을 언급하고 있는 것은 이중적 모습”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 남부지역에 위치한 문학 종합운동장의 경우 인천시의 보조금없이는 운영이 불가능할 정도”라면서 “그럼에도 추가로 북부지역에 대규모 운동장을 신설하려는 것은 방만한 재정운영을 초래할 게 뻔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시측은 서구 연희동 일대 그린벨트 지역내 대지면적 50만㎡, 건축연면적 17만5000㎡의 주 경기장 신설을 정부측에 요청한 상태이다.

시는 신설 이유로, 첫째 기존 문학경기장의 배후지가 협소하고 내외 가용면적이 좁아 관람 서비스가 열악하기 때문에 7만석 규모의 신 주 경기장 건설이 필요하고 둘째 주민복지 향상과 인천지역 남·북부 권역의 균형발전 도모를 꼽았다.


이에 김 의원은 “OCA(아시아올림픽평의회)가 권장하는 7만석은 권고사항일 뿐이고 대회 유치 당시 5만석 규모의 문학경기장 사용을 전제로 유치제안서를 제출해 대회 개최 승인을 받은 것이어서 문학경기장 활용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3266억원이 투입된 문학경기장은 위탁운영되고 있지만 서울 상암 월드컵경기장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시·도 월드컵경기장이 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실정”이라면서 “2002년 부산 아시아경기대회 당시 5만5000석 규모의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에 보조좌석을 설치해 경기를 성공적으로 마친 선례가 있고 실제 연건평도 문학경기장과 큰 차이가 없다”면서 문학경기장 리모델링 등을 통한 활용도 제고를 제안했다.

그는 또 인천시가 경기장 신설 21개, 개·보수 2개며 신설 계획 중 16개는 그린벨트지역내에 경기장을 짓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면서 “이는 사실상 대회개최를 명분으로 그린벨트를 해제하려는 의도가 숨어있다고 보여진다”고 주장했다.

/haeneni@fnnews.com정인홍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