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화성에서 LA면적 3배 크기 빙하 발견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8.11.21 17:47

수정 2008.11.21 17:47



화성의 중위도대 지역 땅속에서 거대한 빙하가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화성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21일 스페이스닷컴에 따르면 미국 오스틴 소재 텍사스 주립대 연구진은 미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궤도탐사선 마스 리커니슨스 오비터(MRO)호에 실린 레이더 장비를 이용해 바위와 돌 부스러기로 덮여 있는 중위도대의 산맥 밑 지형을 관찰한 결과 최고 800m 두께의 빙하들을 발견, 사이언스지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 빙하 중 하나의 크기가 로스앤젤레스시 면적의 3배나 된다”면서 “이들 빙하는 화성의 극관(極冠)이 아닌 곳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큰 규모”이라고 말했다.

지난 1970년대 NASA의 바이킹 궤도 탐사선이 처음 촬영한 이곳은 적도대의 산맥이나 절벽 부근에서 발견되는 부채꼴, 또는 원추형 지형과는 매우 달라 과학자들의 궁금증을 일으켜 왔다.



학자들은 과거 이런 지형의 형성 과정에 대해 논란을 벌이면서 사라진 얼음에 미끄러진 파편의 흐름으로 보기도 했으나 최근엔 이 지형 자체가 바위라기보다는 얼음에 가깝다는 의견이 제시하기도 했다.

연구진은 MRO의 레이더로 화성 남반구 헬라스 분지에 위치한 이 암석 파편류를 투시하고 반향을 이용해 땅 밑에 무엇이 있는지 탐지한 결과 모든 신호가 대규모 얼음의 존재를 가리켰다고 밝혔다.

이처럼 화성의 지하 빙하가 확인됨에 따라 화성의 생물체 생존가능성 문제와 화성 탐사 등 두 가지 과제가 새롭게 활기를 띠게 됐다.

연구진은 “이런 고대 빙하의 존재는 화성이 과거 생명체를 품고 있었는지 아닌지 밝혀내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면서 “지구의 경우 남극지역의 지하 빙하는 고대 생명체와 고대 기후 역사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또 “화성에서도 간단한 시추 장비로 빙하 표본을 채취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언젠가 화성 유인탐사가 시작된다면 장기간 버티기에 충분한 물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economist@fnnews.com 이재원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