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정부·공기업 순대외채무 289억弗



올 9월 말 현재 정부와 공기업의 순대외채무가 289억달러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1994년 이후 최대 규모다.

외국인들의 국채 매입이 늘었고 공기업들이 해외채권발행 확대에 나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9월 말 현재 일반 정부와 공기업의 순대외채무(대외채무-대외채권)는 289억738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1배(137억1000만달러)늘어났다.

순대외채무, 즉 순외채 증가는 정부가 주도했다. 정부의 순외채는 164억87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8배 늘었다. 공기업의 순외채는 124억8600만달러로 같은 기간 58.4% 증가했다.

순외채 증가는 외국인들의 한국 국채 매입 증가에다 공기업들의 해외 채권발행 탓이다.

외국인들은 한국과 미국 금리차를 이용한 ‘무위험 재정거래’로 수익을 챙길 목적으로 한국 채권 투자를 확대해 왔다. 공기업들은 지난해 금융위기 이후 외화유동성 확보를 위해 정부의 독려로 해외채권발행에 적극 나섰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실제 한국전력, 한국가스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도로공사 등이 올 들어 지난 3월부터 최소 3억달러, 최대 10억달러의 해외 공모채권을 발행했다.

금융권에서는 외국인들의 국채매입 확대와 공기업들이 해외에서 올해 발행한 채권들이 당장에 금융시장에 부담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공기업들은 대부분 3∼5년 만기의 장기채를 발행했기 때문이다.


또 올 9월 말 2542억5000만달러 였던 외환보유액은 11월 말 현재 2708억9000만달러까지 확대돼 신용위험을 야기할 가능성 또한 작다.

다만 해외채권발행, 즉 해외에서 빌린 돈이 늘면서 이자부담이 가중될 수 있고 장기적으로 채권을 발행한 공기업들의 대외 신인도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또 올해 발행했던 해외채권의 만기가 5년 후 집중돼 중장기적으로 또 다른 ‘위기설’을 불러올 수 있다는 분석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mirror@fnnews.com 김규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