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개도국 “지원 없다면 양보 없다”



인류의 미래를 결정짓게 될 덴마크 코펜하겐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 일정이 5일 남은 가운데 각국의 의견차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 등 ‘G2’ 협상자들이 회동할 예정이고 중국이 다소 양보하는 자세를 취하는 등 긍정적인 모습도 있어 합의문 도출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14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 11일 192개국에서 온 대표들은 각국의 장기비전을 2050년까지로 설정하고 이산화탄소 배출감축 목표를 1990년 배출량과 비교한다는 내용의 초안을 공개했다. 그러나 합의내용을 누가 감독할지에 대해서는 의견을 모으지 않은 초안인 데다 탄소배출을 줄이는 개발도상국들에 대한 지원금 내용이 빠져 있어 개발도상국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카리브해 섬나라 바베이도스 정부의 셀윈 하트 대표는 “지원이 없다면 양보는 없다. 재정적 지원이 중요하다”면서 선진국에 신속히 지원에 나설 것을 요구했다.

이보 드 보어 UNFCCC 사무총장은 개발도상국들이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1년에 최소한 1000억달러는 필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중국 측은 선진국의 재정지원을 받지 않을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 관심을 끌었다.

파이낸셜타임스(FT)지에 따르면 허야페이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나선 개발도상국들에 대한 선진국의 재정지원은 법적인 의무”라면서 “그렇다고 중국이 재정지원을 원한다는 뜻은 아니다”며 중국도 재정지원을 받아야 한다는 이전의 자세에서 양보하는 모습을 보였다.

토드 스턴 미 특사는 “개발도상국들에 무임승차권을 줌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고 중국에 대한 재정지원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해 중국과 신경전을 펼쳐 왔다.


이런 가운데 미국과 중국 대표단이 양국만의 만남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블룸버그통신은 토드 스턴 미국 기후변화특사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원자바오 중국 총리가 정상회담을 갖는 오는 18일 이전에 합의안을 도출하기 위해 당초 계획보다 빨리 중국쪽 파트너인 셰전화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부주임을 만나기 위해 코펜하겐으로 향했다고 밝혔다.

보어 UNFCCC 사무총장은 “(아직까지 큰 성과는 없지만) 오바마 대통령과 원자바오 총리를 포함한 110개국 정상이 모이는 이번 주 후반에는 큰 약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kkskim@fnnews.com 김기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