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은행들 ‘임금반납·잡셰어링’ 후유증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0.01.08 05:15

수정 2010.01.07 22:01



시중은행들이 지난해 말로 종료된 임금 반납과 잡셰어링(일자리 나누기) 문제 처리로 고민에 빠졌다.

경기가 회복될 것이란 전망과 달리 금호아시아그룹의 구조조정 등 각종 악재로 금융시장이 다시 악화될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어서 은행들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전전긍긍하고 있다. 여기에다 사실상 실업자가 300만명을 웃돌면서 올해 임금 반납을 통한 일자리 창출 부담이 금융권을 옥죄고 있다.

금융노조 측이 더 이상 임금 반납은 어렵다는 입장이지만 금융당국과 국책은행들은 올해도 임금 삭감을 지속할 방침을 세워 노사 간 진통이 예상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실제 일자리가 없는거나 마찬가지인 광의의 실업자 수치가 329만9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면서 잡셰어링이 한국경제 회복의 최대 복병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들도 곤란한 상황에 놓였다. 지난해까지 임금 반납을 끝낸 은행들은 올 초 경기회복 전망이 일면서 더 이상 임금 반납은 없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금호아시아나그룹의 구조조정과 기업매각 등이 지연되면서 경제가 악화될 우려도 커지면서 국민고통분담을 계속해야 하는 부담이 커지고 있다. 여기에 실제 실업자 수가 정부의 공식통계보다 3∼4배가 많은 것으로 집계되자 임금 반납을 지속할지 중단할지 기로에 섰다.

여론에 몰려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참여한 탓에 임금반납 결정까지 노·사 간 많은 갈등을 빚었던 만큼 은행으로서는 이번 연장 결정이 그리 쉽지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연일 터지는 악재들과 일자리 창출 동참 같은 여론의 반발 등도 고려해야 한다.

더욱이 급여를 삭감한 국책은행들과 금융감독당국은 올해도 임금 나누기에 동참할 예정이어서 시중은행들을 궁지에 몰아넣고 있다. 그동안 시중은행들이 시행했던 잡셰어링도 반납한 임금이 아닌 신규 직원을 덜 뽑는 방식으로 비용을 아끼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금융권의 지각변동이 예상되는 만큼 정부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실정이어서 '정부-경영진-노조' 3자 간 모두가 만족할 만한 어떤 타협을 이끌어 내느냐가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 전직원의 급여를 일정 부분 반납했던 국민, 우리, 신한, 하나은행 등은 올해 급여 삭감이 어느 정도 진행될지 알 수 없어 눈치만 보고 있다.

은행연합회는 지난해 실시한 5% 급여 반납을 연초까지 마무리하고 올해 추가로 실시할지 여부는 확정하지 못했으나 지난해 실시한 연차휴가 50% 의무사용, 신입직원 초임 20% 삭감은 올해에도 지속할 방침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이미 금융당국부터 인력감축 등 경제위기 극복과 일자리 창출 재원을 위한 잡셰어링이 진행되고 있어 은행권도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인력을 구조조정하고 임금삭감 노력도 지속할 것"이라며 "다만 청년실업 해소 차원에서 신규 인력 채용은 크게 줄이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toadk@fnnews.com 김주형 인대규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