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이번엔 남북정상회담 추진을 위한 '전제 조건'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2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정상회담을 위한 대가는 있을 수 없다는 대전제 하에 남북정상이 만나야 한다"면서 "이 원칙을 양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최근 정상회담과 관련한 언론보도에 언급, "정상회담은 확고한 원칙 아래 추진할 수 있는 것"이라며 "원칙을 지키는 것은 남북 모두에게 좋은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이 대가는 없어야 한다는 조건을 새삼 강조한 것은 정상회담 '뒷거래' 의혹이 제기됐던 과거 정권과의 차별성을 강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도 전날 브리핑을 통해 "지금까지의 정상회담들은 역사가 지난 후에 밝혀진 문제도 있었지만, 정상회담 조건 가운데 대가를 주고받는 경우가 있었다"면서 "이는 본질적 문제를 떠나 부차적 조건을 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즉, 정상회담의 성사를 위해선 대가를 주고받지 않겠다는 조건이 있어야 하며 그럴 경우 시기와 상관없이 만날 수 있다는 게 이 대통령의 '원칙'인 셈이다. 이 대통령이 정상회담이 가시화되는 시점에서 조건을 내세운 것은 역설적으로 이 같은 대전제가 지켜지지 않을 경우 서두르지 않겠다는 의지를 우회적으로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원칙이 충족되지 않으면 (정상회담이) 성사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도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정상회담 상황을 국무위원도 좀 알아야 할 것 같다"며 현인택 통일부 장관을 바라보자 "그것은 통일부 장관이 답변할 정도로 진행되는 것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현 장관도 이날 외신기자클럽 초청 기자회견에서 이 대통령의 '연내 정상회담 가능성' 언급에 대해 "우리의 희망사항을 얘기한 것"이라고 선을 그은 뒤 "(정상회담이) 반드시 연내에 '일어난다, 안 일어난다'고 얘기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courage@fnnews.com 전용기 최진성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