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우리-하나 합병시 서두르지 말아야”

안대규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0.02.07 20:44

수정 2010.02.07 20:44

우리금융 민영화 시나리오 중 '하나금융과 대등합병' 방안이 실현되려면 '3대 난제'를 풀어야 한다는 분석이다.

무엇보다 합병하더라도 시너지가 크지 않은 데다 대규모 점포 및 인력 구조조정에 따른 사회적 갈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 재정적자에 따른 유럽발 쇼크 등 국제금융시장 불안이 여전해 우리금융 지배 지분(50%+1주) 매각도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7일 은행권에 따르면 우선 합병 시너지 효과가 논란거리다. 합병 후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기업 고객 중 일부 대출 회수가 불가피하다. 은행 감독규정상 은행은 기업에 대한 여신한도 제한 규정이 있어 합병으로 거래기업의 여신한도가 줄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은행은 지난해 기준 45개 대기업 주채무계열 중 16개를, 하나은행은 4개를 맡고 있다. 사업포트폴리오도 중복이 많다.

또 하나은행은 프라이빗뱅커(PB) 고객과 과거 서울, 충청은행을 인수하며 두터워진 수도권 고객층이 장점인데, 우리은행과도 장점이 겹친다. 대기업 고객군이 많은 우리은행 역시 PB 등 개인고객이 많고 중소기업, 기관고객, 투자금융(IB) 등이 균형잡힌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다.

아울러 대규모 고용산업인 은행의 인수합병(M&A)으로 사회적 갈등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외국계은행 고위 관계자는 "900여개 지점을 가진 우리은행과 600여개 지점을 가진 하나은행 간 전국 점포통합 과정에서 중복 업무 담당 직원에 대한 대규모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노사갈등, 고용불안정에 대한 은행권 내부의 불만 등으로 심각한 사회갈등 비용을 발생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밖에 합병에 대한 정치적 리스크도 크다. 김승유 하나금융지주 회장과 이명박 대통령은 대학교 동기동창으로 합병과정에서 구설수에 오를수 있다.
실제로 지난해 금융위, 금감원 국감에서 민주당 신학용 의원은 "현 정권과 우리금융과 하나금융 간 합병 시나리오가 벌써부터 시중에 나돌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한편 우리금융의 지배지분(50%+1주)은 금융시장 질서유지와 실물경제의 버팀목 역할 차원에서 당분간 정부가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이해관계에 따라 수익을 추구하는 은행의 특성상 시장에만 맡겨둘 경우 금융정책 집행에 차질이 예상된다"며 "우리은행마저 시장에 내줄 경우 국가기간산업, 방위산업체 등 정부가 지켜야 하는 기업의 주채권은행 자리를 아무도 맡지 않으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powerzanic@fnnews.com 안대규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