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선택제 시행에 따른 서울지역 중3 학생들의 학교별 배정 결과 타 학군·자치구로 배정된 학생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교육청은 11일 학교 배정 결과 1단계에서 타 학군을 지망한 일반 배정대상자 1만2824명 중 3199명(24.9%)이 원하는 학교에 배정받았다고 밝혔다.
거주지 학군 내에서 타 자치구 학교에 진학할 수 있는 2단계 배정에서도 타 자치구 소재 학교를 지망한 일반 배정대상자 1만2700명 중 4744명(37.4%)이 원하는 학교에 배정됐다.
김경회 교육감 권한대행은 “1∼3단계 전체를 감안할 때 종전 거주지 중심 강제추첨 배정방식으로는 갈 수 없는 곳에 배정받은 학생 비율이 지망학생의 20∼30%”라며 “지망고교에 배정받은 비율은 84.2%로 지난해 4월 모의배정 결과(81.5%)보다 높았다”고 설명했다.
시교육청은 많은 학생이 교통편의 등을 고려, 학교를 선택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교육전문가들은 “선택권 자체에 제한이 있었다”며 배정방식에 불만을 나타냈다.
선호학교로 꼽힌 13개 고교가 자율형사립고로 전환, 선택학교에서 빠지기 전 실시된 모의배정의 지망학교 배정률보다 실제 배정률이 높다는 점 등을 이유로 들었다.
또 모든 학생에게 동등한 선택권을 보장한다는 제도 취지를 감안해도 선호학군에 대한 다른 지역 학생들의 진입은 여전히 어렵다는 점이 확인됐다.
강남·북부·강서 지역의 경우 1단계 지원경쟁률은 각각 6.2대 1, 5.6대 1, 5.4대 1로 1∼3위였으나 타 학군 학생 배정률은 각각 15.5%, 15,3%, 15.5%로 다른 지역과 비교해 낮은 수준이었다.
이는 이 지역 학생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자기 학군 소재 학교를 많이 지원했기 때문으로 고교선택제 취지를 감안할 때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교육청이 학군별로 100명씩 무작위로 추출해 배정대상자 1100명의 ‘학교선택기준’을 조사한 결과 특성화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27%, 통학편의 19.6%, 대학진학 성적 18.2%, 학교의 전통 및 명성 17%, 학교 시설 및 환경 9.4%로 나타났다.
/art_dawn@fnnews.com 손호준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