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3일 “우리가 바라는 것은 정치를 위한 세종시가 결코 아니다. 국가와 국민을 위한 세종시이다”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설맞이 특별연설을 통해 “어떤 길이 국민을 위한 길인지, 어떤 길이 국가 미래를 위한 진정한 애국의 길인지, 다 같이 차분하게 생각해 봤으면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세종시 발전안은 세종시만을 위해 만든 안이 아니다”라고 강조하면서 포항의 포항제철과 울산의 현대자동차, 수원의 삼성전자, 파주의 LG LCD를 직접 예로 들었다.
이 대통령은 “세종시 발전안은 21세기 꽃이라 할 수 있는 지식 기능을 중심으로 지역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라며 “그 성과는 중부권은 물론 전국으로 퍼져 나가게 될 것이고, 21세기 지식 강국의 꿈은 성큼 다가오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나라가 잘 되지 않고 지역이 잘 될 수는 없다. 나라가 잘 되지 않고 나만 잘 될 수는 없다”면서 “우리가 공동운명체라는 생각만 확고히 가진다면, 우리는 마음을 터놓을 수가 있을 것이다. 색안경을 쓰고 보는 편견도 벗어던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와 함께 “지금까지 저를 붙들고 있는 가장 큰 힘은 소명의식이다”면서 “‘내가 왜 이 시기에 대통령이 되었을까?’하는 화두를 놓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사랑하는 우리의 조국, 대한민국을 세계의 반열에 올려 보자, 선진 일류국가의 기초를 각 분야에서 확실히 닦아 보자, 그렇게 해서, 다음 대통령부터는 승승장구하여 국운이 융성하는 시대를 활짝 열 수 있게 기반을 마련하자!’는 이것이 대통령으로서 제 존재 이유이자, 목표이다”면서 “저에게 다른 무슨 욕심이 있을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이 대통령은 최근 세계 동조화 현상을 예를 들며 “이런 시대에는 남의 것을 빼앗아 내 배를 채우는 제로 섬 패러다임은 발붙일 수가 없다. 그렇게 하면 함께 망할 수밖에 없다”면서 “협력 속에 경쟁하고, 함께 승자가 되는 ‘윈 윈 패러다임’만이 우리의 미래를 밝게 할 수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지금 세계에서 빠르게 발전하는 나라들은 웅크린 나라들이 아니다.
툭 트인 마음으로 세계와 함께 호흡하고 세계를 무대로 뛰는 나라들이다”면서 “만일 대한민국이 우리만 생각하고 우물 안 개구리처럼 행동하면서, 세계가 공감하는 인식과 실천을 보여주지 못했다면, 결코 지금과 같은 위상을 갖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국내적으로도 마찬가지이다. 이 작은 나라에서 지역 간에 싸워서는 발전이 결코 없다”면서 “각 지역이 세계와 경쟁한다는 생각으로, 특성화된 발전을 추구하고 지역의 발전이 서로 연계되어 상승효과를 갖도록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courage@fnnews.com전용기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