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MS 스마트폰용 OS ‘윈도 폰 7’ 공개

【바르셀로나(스페인)=이구순기자】 15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막을 올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0’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의 스티브 발머 최고경영자(CEO)가 “같은 모습, 같은 방식의 휴대폰만 범람하는 시장에 MS는 지금까지와 다른 모바일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스마트폰용 운영체제(OS)인 ‘윈도 폰 7’을 직접 선보였다. 발머 CEO는 “‘윈도 폰 7’은 사람들의 생활속도, 주변사람과 연결되고 싶어하는 요구를 잘 반영했으며 휴대폰의 새로운 터닝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용 OS시장은 춘추전국시대를 맞게 됐다. 세계 2위 휴대폰 업체 삼성전자도 독자 OS ‘바다’로 경쟁에 맞불을 놓고 인텔과 노키아는 협공을 하겠다며 벼르고 있다. 애플 아이폰과 구글 안드로이드가 주도하던 스마트폰 OS시장에 불과 2∼3개월 만에 3개나 되는 거물들이 뛰어든 것. 인텔과 노키아는 이날 새 모바일 플랫폼인 ‘미고(MeeGo)’를 2·4분기 중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이 플랫폼은 스마트폰뿐 아니라 태블릿PC나 넷북 등 다양한 기기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이날 “올 연말 ‘윈도 폰 7’을 탑재한 스마트폰이 첫선을 보일 것”이라고 소개한 발머 CEO는 ‘윈도 폰 7’이 MS의 콘텐츠와 서비스, 응용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들을 긴밀히 통합했다고 강조했다. △사람 △사진 △게임 △음악·비디오 △마켓플레이스 △오피스 등 6개로 구성되는 ‘윈도폰 허브’라는 통합서비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연관 콘텐츠를 한 화면으로 통합해 보여준다.
사람 허브는 미리 지정해 놓은 사람들의 사진이나 글 같은 콘텐츠를 일괄적으로 찾아 보여주고 사진 허브는 인터넷과 PC를 스마트폰과 연동시켜 한 화면에 모아준다. 게임 허브는 휴대폰으로 X박스 라이브를 즐길 수 있게 돼 있다.

또 ‘윈도 폰 7’을 탑재한 스마트폰은 MS의 검색엔진 빙(Bing)으로 연결되는 버튼이 있어 어떤 작업을 하다가도 클릭 한 번으로 빙 검색을 할 수 있다.

/cafe9@f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