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논단] 이제는 일·가정 양립 실천할 때/문숙경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원장

박지혜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1.01.03 18:23

수정 2011.01.03 18:23

요즘 우리 사회에서는 '일과 가정의 양립'이 화두다. 정부정책을 들여다보면 이 말이 더욱 실감이 난다.

우선 '여성가족부 2011년도 업무계획'을 보면 올해 공공기관 31개소(2884명)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한 유연근무제를 내년도에는 모든 공공기관으로 확대할 것을 밝히고 있다. 또한 '여성·육아친화적 직장환경 조성'에 적합한 방향으로 스마트오피스 구축을 추진하고 '일·가정조화와 아버지 양육 참여를 위해 아버지 교육 확대 및 가족친화기업' '찾아가는 적극적인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등 가족가치 확산 교육을 전국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고용노동부는 '2011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유일하게 연간 2000시간이 넘는 장시간 근로를 차츰 개선해 2020년까지 1800시간대로의 단축시킨다는 방침을 세웠다.

그리고 반듯한 시간제 일자리 창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청구권제도를 도입, 일·육아 병행형 일자리 형성에 주력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역시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서 가족친화정책을 표방, 일가정 양립의 일상화, 결혼·출산 양육부담의 경감 등 출산과 양육에 유리한 환경 조성을 추진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 사회에서 왜 일·가정 양립에 대한 관심이 더욱 집중되고 있는 것일까. 이는 사회 변화에 따른 가족가치의 재구성, 일과 직장생활의 패러다임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

최근 한국인의 행복 결정요인에 관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결과를 보면 우리 일상생활에서 행복의 결정요인은 우선적으로 '가족'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한국인의 행복결정 요인의 1순위는 '현재의 가족생활에 대한 만족도', 2순위는 '가족의 건강수준'으로 나타나며 그 외에도 10위안에 든 지표 중 3개가 가족관련 요소다. 이는 개인과 직장, 사회 전반에서 행복한 가족생활을 위한 라이프스타일이 우선됐으면 하는 요구를 반영한다.

사회적 요구들 또한 일과 가정의 양립 지원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고 있다. 우선 부모, 자녀로 구성되던 전형적인 핵가족이 줄어들고 1인 가족, 한부모 가족, 조손 가족, 재혼가족, 결혼이민자 가족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 등장과 여성 가장, 맞벌이 부부 등 남녀의 성 역할 변화는 남녀 모두 공적 영역에서만큼 사적 영역에서의 책임이 커지고 이에 따라 조직 경영에서 일과 가정의 양립을 불가피하게 요구하고 있다.

또한 한국사회의 저출산 문제 역시 일과 가정의 양립이 필요한 중요한 이유가 되고 있다.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는 육아 인프라나 품질 높은 지원 서비스의 부족, 장시간 근로환경 등에서 출산율 저하의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프랑스,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등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이 80%에 육박하는 나라들도 일과 가정 양립정책의 결과 출산율이 계속 상승하고 있다는 점은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여성 인력의 활용을 우선적으로 염두해 두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가족친화적 직장문화는 기업 경영에도 득이 되고 있어 이미 선진국에서는 적극적인 일·가정 양립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기업 성장의 지름길 가족친화 경영(2006)'에 따르면 독일의 경우 가족친화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생산성이 30% 높은 것으로 조사됐으며 민간 및 공공기업의 3분의 1이 10년 동안 가족친화제도를 운영할 경우 일자리 22만개 창출, 1시간당 생산성 2.3배 증가, 신생아 100만명 출산 증가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국가 및 기업경쟁력을 높이고 인력 활용을 위해 일과 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하는 한국사회에서 일·가정 양립의 현실화는 매우 절실하다. 기업, 관리자, 정부, 가족, 지역사회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하며 정책 수립뿐만 아니라 각 이해 관계자들의 인식과 행동 변화가 필요하다.

바야흐로 신묘년에는 일·가정 양립,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할 때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