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일본계자금들"대부업체 팔고 저축은행 산다"

김아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1.01.05 17:42

수정 2011.01.05 17:35

현재 감독당국과 경영정상화 약정(MOU)을 맺고 자본확충과 부실자산 매각 등을 진행 중인 저축은행은 61개다.

부실 PF에 대한 감독당국의 본격적인 정리가 시작되면 자체 증자가 어려워 인수·합병(M&A) 시장에 나올 저축은행들이 꽤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부업체에 대한 금리규제로 수익성이 크게 떨어진 일본 자금들에겐 호재일수 밖에 없다.

저축은행은 수신기능이 있고 부정적 인식도 약한데다 대부업체와의 금리격차도 미미해졌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우리금융 이팔성 회장이 4일 “저축은행 1∼2곳의 인수를 추진하겠다”고 밝혀 저축은행 인수경쟁은 더욱 뜨거워 지고 있다.

■日자금, “대부업보다는 저축은행”
한때 대부업계를 장악하다시피 했던 일본계 자금은 현재 대부업 시장에서 발을 조금씩 빼고 있다.
우리나라에 들어와있는 일본계 대부업체는 러시앤캐시, 산와머니, 원캐싱, 파트캐싱, 이와이크레디트, 스타크레디트, 머니라이프, 베르네. 네오라인캐피탈 등 25∼26 곳. 재일교포 자금을 포함한 이들 일본계 대부업체들은 시장규모 90% 정도를 점유하고 있다.

지난 2002년 신용대란이후 대부업법이 만들어지고 일본계 자금이 유입된 이후 2005∼2006년에 가장 활발한 모습을 보였다가 현재는 수그러든 상태다. 수익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상한금리가 49%에서 44%로 내려가자 3∼4개 일본계 대부업체가 대출영업을 줄이고 대출채권을 매각하는 등 사실상 철수 수순을 밟고 있다. 더욱이 올해 우리나라 대부업시장의 경우 최고 금리가 30%대로 낮아질 예정이다. 이에따라 “자금을 운용할 메리트가 없어져 이젠 빠져나갈 때”란 인식이 커지고 있다. 적게는 5년, 많게는 10년 가까이 우리나라에서 고금리로 영업한 뒤 이익을 챙겨 빠져나가는 셈이다.

한 일본계 대부업체 관계자는 “올해부터 규모가 작은 곳은 장사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규모의 경제를 갖추지 못하면 매각하는 게 당연하고 대출금리가 지금수준보다 더 내려가면 철수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 자금이 최근 저축은행으로 눈을 돌리는 것도 이런 사정이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저축은행은 수신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큰 매력으로 꼽힌다.

■저축은행 인수전 불 붙는다
오릭스를 비롯해 러시앤캐시 등 일본자금에다 국내 금융사들까지 뛰어들면서 저축은행 인수경쟁은 더욱 뜨거워 지고 있다.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은 5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범금융기관 신년 인사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저축은행 인수합병(M&A)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며 “(우리금융) 규모가 있기 때문에 1∼2개 이상은 인수해야 하지 않겠나”고 말했다.

국내 굴지의 보험사인 K사와 중소형 증권사인 E증권 등도 부실 저축은행을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경쟁을 촉진하고 공적자금 회수 가능성을 높인다는 차원에서 일본계 자금 진출을 반기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순수 토종업체라고 해도 지분 참여 형식으로 일본 자금이 들어와 있는 경우가 많다”면서 “대부업체 뿐아니라 국내 은행도 50%이상 외국계 자본 아니냐”고 설명했다.


심지홍 단국대학교 소비자금융연구소장은 “장기 자본시장은 개방돼 있어 일본계 자금이 들어오는데는 문제가 없다”면서 “보는 시각 나름이지만 꼭 일본 자금이라서 안좋게 보는 시각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true@fnnews.com 김아름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