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김석동 위원장 저축은행 PF해법.. ‘관치행정’ 논란 예고

김홍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1.01.05 22:21

수정 2011.01.05 22:21

‘돌아온 대책반장’ 김석동 금융위원장의 저축은행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 해법이 ‘도마’에 올랐다.

요지는 회생 가능한 저축은행은 공적자금 투입과 자구노력을 통해 정상화를 유도하지만 경영개선 약정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부실이 많은 저축은행은 대형 은행 등을 통해 인수합병(M&A)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은행의 저축은행 시장 진출은 그동안 정부가 금지해 왔고 인수 의향을 밝힌 은행들도 저축은행을 인수할 만한 상황이 아니란 점에서 밀어붙이기 식 관치행정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 위원장이 이날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범금융권 신년인사회에서 저축은행 PF와 관련, “나름대로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있고 기본 방향은 이미 결심이 서 있다”고 말한 직후 주요 금융그룹들이 약속이나 한 듯 저축은행 인수의사나 지원의사를 밝혔다.

이날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과 김승유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저축은행 인수를 공식화하자 KB금융도 보도자료를 내고 “캐피털사를 통한 서민금융업 진출을 검토해 왔으며 소매금융 전문 금융회사로서 서민금융 활성화와 확대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신한은행도 저축은행 인수를 검토해 보겠다는 입장이다.
사실상 주요 4대 금융회사가 모두 저축은행 인수에 나선 셈이다.

그동안 저축은행 인수에 관심을 보이지 않던 시중은행들이 일제히 발 벗고 나선 이유는 김 위원장과의 사전 교감 때문으로 분석된다. 김 위원장은 신년인사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은행들의 저축은행 인수 방침에 대해 “저축은행의 위기가 시스템리스크로 연결되면 안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방향”이라며 “전적으로 환영한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취임 후 주요 금융권 인사들과 만나 의견을 교환했다”며 금융당국과의 사전 교감에 따른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금융권 인사들도 저축은행 문제가 시스템리스크로 연결되면 안 된다는 데 인식을 함께하고 있다”며 다른 금융지주회사들도 저축은행 인수에 동참해 줄 가능성을 내비쳤다.

문제는 현재 이들 은행이 저축은행을 인수할 만한 상황이냐는 것. 우리금융은 부동산 PF금액이 11조4000억원에 이르고 KB금융도 약 9조원에 이른다. 이들 은행은 PF 부실채권 비중이 높아 대손충당금을 쌓느라 경영실적이 악화된 상태다.

또 하나금융은 외환은행 인수를 위한 유상증자에 참여할 투자자 모집을 다음주까지로 연장한 상태다. 당초 지난해 말까지 투자 인수의향서 접수를 마감할 예정이었으나 투자자 모집이 여의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금융도 지난해 ‘신한 사태’로 내부수습을 하느라 저축은행을 인수할 여력이 없는 상태다.


따라서 이들 은행은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정부 방침에 따라가면서도 저축은행 인수 시 정부가 어느 정도 손실을 보전해 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일부 저축은행의 경우 잠재 PF 부실채권을 떨어내고 나면 인수대금이 몇 백억원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인수 자체는 큰 부담이 되지 않는다”면서도 “정부가 저축은행 인수 과정에서 어느 정도 부실을 메워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가 손실을 보전해 주지 않는데도 무조건 인수하겠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hjkim@fnnews.com김홍재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