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건강

거부반응 없는 췌도이식용 복제돼지 생산

허현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1.07.13 16:40

수정 2011.07.13 16:40

국내 연구진이 당뇨병 환자에게 면역 거부반응 없이 췌도를 이식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이번 성과는 당뇨병 치료기술 개발에 기여할 전망이다.

서울대학교는 의과대학 안규리 교수 연구팀과 수의과대학 이병천 교수 연구팀이 종양괴사인자(TNF-α)를 차단하는 특정 단백질(sTNFRI-Fc 융합단백질)을 지닌 복제돼지를 세계 최초로 생산했다고 13일 밝혔다.

종양괴사인자는 이종 췌도 이식 시 면역거부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 면역매개물질이다.

연구팀은 이 돼지로부터 얻은 혈청을 종양괴사인자로 자극한 결과 면역거부반응이 차단돼 효과적으로 면억이 억제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당뇨병의 근본적인 치료법은 췌장에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세포인 췌도를 이식하는 것이지만 사람의 췌도는 절대적으로 부족해 바이오 장기생산용 돼지의 췌도를 사람에게 이식하는 이종 췌도 이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췌도만을 분리해 이식하는 방법은 장기이식보다 부작용이 적지만 급성 혈액매개성 염증반응(IBMIR)과 급성 세포매개성 거부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하지만 이번에 생산된 형질전환 돼지의 췌도를 이용하면 사람에게 이식할 때 나타나는 면역거부반응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고형장기 이식에도 상당한 면역반응 억제 효과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 연구결과는 이식 분야의 저명한 학술지인 트랜스플렌테이션에 게재 승인을 받았다.

/pado@fnnews.com허현아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