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정부 정책도 이름 잘지어야 성공?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1.09.04 17:41

수정 2011.09.04 17:41

정부 정책에도 '네이밍' 개념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네이밍은 통상 '작명'으로 해석되지만 정책에 '네이밍'을 하게 되면 '정책=상품'으로 변모해 정책집행력을 높일 수 있다.

4일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에너지·자원 소비를 줄이고 고용창출, 물가안정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재제조산업'의 네이밍을 고심하고 있다.

재제조산업은 중고품을 분해, 세척, 검사, 보수, 재조립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원래의 성능을 유지토록 하는 산업을 말한다.

예를 들면 승용차 문을 보수해 신제품과 기능, 외관을 똑같이 만들어 30%가량 싸게 파는 형태로 재활용과는 다른 개념이다.



정부는 최근 재제조산업 육성 방침을 밝혔지만 소비자의 인식 전환이 정책의 성패를 가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재제조한 제품은 중고라는 인식이 많아 이를 바꿔야 고용창출, 물가안정, 에너지 소비 축소 등 '세 마리 토끼' 잡기에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재정부 관계자는 "재제조라는 말이 어려워 산업 이미지를 전달하기 힘들다고 보고 '환골탈태'라는 단어까지도 후보군에 올려 놓고 있다"며 "'재제조'라는 이름으로 그대로 갈 수도 있다"고 밝혔다.

정부가 정책에 대한 '네이밍'을 고심하고 있는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이명박 정부 들어서는 '미소금융'이라는 이름의 소액대출사업이 네이밍에 성공한 정책으로 꼽힌다.

어려움을 겪는 사람에게 미소를 찾아 준다는 의미로 읽힌 '햇살론'도 이름을 잘 지은 정책이다.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은 잘못 지어진 정책으로 회자된다.

정책의 의미가 쉽게 와닿지 않는 데다 정책 소비자인 대학생에게 상환 부담부터 느끼게 하는 한계가 있어서다.

최근 '무상급식' 관련 투표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이 네이밍에서부터 실패하면서 주민투표에서 패했다는 인식이 나오는 것도 정부가 정책 네이밍에 신경을 쓰고 있는 이유 중 하나다.

오세훈 시장이 내세웠던 '단계적 무상급식'보다는 민주당의 '나쁜 투표, 착한 거부'가 폭넓은 지지를 받았다.

한편 지경부는 이달 중 현재 컴퓨터 프린터용 잉크·토너 정도에 그치고 있는 재제조산업 제품을 자동차 부품 등으로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mirror@fnnews.com김규성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