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되면 이동통신망에서 최대 60Mbps 이상의 속도를 구현할 수 있어 데이터 폭증으로 시달리는 이동통신망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SK텔레콤 종합기술원장 변재완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2' 현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SK텔레콤은 이번 행사에서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를 선보였다"며 "무선랜을 3G와 묶으면 60Mbps를,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 망과 묶으면 100Mbps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변 CTO는 이어 "SK텔레콤은 올 2.4분기에 3G와 무선랜을 동시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를 국내에서 상용화하고 내년에는 LTE와 무선랜을 묶어 100Mbps의 초고속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기술은 기술방식과 주파수대역이 다른 두 개 망을 동시에 사용, 무선인터넷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술이다.
이용자들은 이를 통해 품질 좋은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즐기게 되며 통신사업자는 자사 네트워크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무선랜 망에서 3G 망으로, 혹은 3G 망에서 무선랜 망으로 이동했을 때 끊김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숙제도 있다.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를 이용하려면 스마트폰 무선랜 기능을 항상 활성화해 놓아야 하는데 그러면 배터리 소모량이 많아진다. 이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를 실제 상용서비스 하려면 스마트폰이 이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이 기능을 이용자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단말기에 소프트웨어(SW)를 내려받는 형식으로 지원할지, 제조사와 협의 후 출시 단계부터 기능을 넣어 판매할지는 결정하지 못했다.
변 CTO는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고려해 상용시기를 정하되 3월 중 최종 계획을 세울 것"이라면서 "이르면 2.4분기에 상용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ronia@fnnews.com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