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에 고유가 충격파까지 겹쳐 우리 경제의 주름살도 깊어가고 있다. 자영업자와 서민들은 치솟는 기름값에 한숨 짓고 기업 경쟁력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올해 우리 경제의 최대 불안 요인이 고유가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삼성경제연구소는 두바이유가 150달러가 되면 국내 기름값이 36.5% 오르고 경제성장률은 1.9%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의 올해 성장 목표치(3.7%)가 반토막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시시각각 다가오는 초(超)고유가 시대를 우리 경제가 과연 감당해낼 수 있을지 걱정이다.
무엇보다 제대로 된 대응 메커니즘이 없다. 그동안 이런저런 유가 대책을 내놓긴 했지만 결과는 신통찮았다. 작년의 정유사 팔 비틀기는 대표적 실패 사례이고 최근 일본과 기름값 상승폭이 다르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지적도 결과는 뻔해 보인다. 알뜰주유소는 정작 필요한 서울엔 개설할 곳을 찾기 어렵고 그나마 일반 주유소보다 기름값이 더 비싸다는 비판만 받고 있다. 정유사 독과점 구조 타파 등 유통구조 개선이 하루 이틀새 될 일이 아닌데도 당장 성과를 내겠다며 달려든 결과다.
유가 130달러가 되면 컨틴전시 플랜(비상대책)을 내놓겠다고 버티다가 유류세 인하폭을 소득별로 차등 적용하겠다는 등 오락가락하는 유류세 대책도 어지럽다. 모든 대책이 그렇듯 고유가도 당장 할 일과 중장기 사안이 따로 있다. 유류세 인하와 에너지 절감, 대체 에너지 확보 등 종합적이면서 정교한 범정부 차원의 에너지 대책이 시급하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