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 물가 2%대 안정 반갑고도 두렵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2.05.01 18:39

수정 2012.05.01 18:39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5%를 기록했다고 1일 통계청이 발표했다. 지난달 2.6%에 이어 두 달째 2%대로 안정세를 유지했다. 식료품 값이 오르고 외식비가 들먹이는데 무슨 안정 타령이냐고 말하겠지만 통계상으론 그렇다. 물가통계 방식을 바꿨기 때문에 그런 게 아니냐고 시비를 걸 만도 하고 거기엔 수긍도 간다. 정부는 지난해 말 물가통계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으로 바꾸면서 가중치 제외품목을 늘려 제외비중을 23.2%로 높였다. 자연히 물가지수는 낮게 나타날 수밖에 없게 됐다.


그러나 소비자물가 하락 원인을 전적으로 여기에 돌릴 수 있다면 차라리 그건 좋은 일이다. 그렇지 않고 만약 안정이 한국 경제의 불황 또는 위축을 반영하는 것이라면 그것 자체가 위험한 징후일 수 있다.

이 점에서 3월 산업활동 지표가 생산·소비·투자에 걸쳐 모두 하락 또는 악화 일로를 걸었다는 통계청의 또 다른 발표를 주목한다. 생산과 투자 부진은 경기상승에 대한 기대를 어긋나게 함은 물론 소비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쳐 겉으로는 물가안정 효과를 나타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생활물가 자체만 보아도 안심할 수 없는 측면이 많다. 고춧가루, 풋고추, 토마토 등 농산물이 의연히 강세를 나타냈다. 봄배추 같은 신선식품은 변덕스러운 기후로 인한 작황부진으로 지난해보다 3배 이상 올랐다. 김치 담그기가 겁날 정도라는 말이 과장이 아니다. 휘발유·경유·액화석유가스(LPG) 값도 7% 안팎의 상승 행진을 거듭했다. 지난달에 단행된 교통요금 인상은 두고두고 압박요인이 될 것이다.
특히 부동산경기 회복 징후는 물가안정 측면에선 두렵다. 4월 중 전·월세는 1년 전보다 각각 5.6%, 3.1% 올라 일단 폭등세는 잠재웠다.
하지만 4·11 총선 이후 오랜 잠에서 깨어나 기지개를 켠다는 부동산경기가 주거비 상승을 가져오면 어떡하나. 경기위축 속의 물가상승은 언제나 가능하다는 점을 정부, 가계 모두 경계해야 한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