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건강

겨드랑이 다한증 치료 미라드라이 시술 한국, 미국학회서 발표

정명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3.03.28 18:25

수정 2013.03.28 18:25

겨드랑이 다한증을 치료하는 미라드라이 시술이 미국과 한국의 피부과학회에서 주목받고 있다.

지난 3월 24일 그랜드힐튼호텔 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제15회 대한피부과의사회 춘계심포지엄과 다음달 3일부터 7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33회 미국레이저학회(ASLMS)에서 미라드라이 시술이 발표됐다.

다음 달 열리는 미국레이저학회에서는 화상과 트라우마, 합병증과 법적논란, 피부레이저수술, 다한증치료 등 최근 의사들의 관심이 높아진 분야의 강연들이 마련됐다.

특히 다한증치료 강연에서는 미국 마이클 카미너 박사가 마이크로웨이브(극초단파) 기술을 이용한 미라드라이 시술에 대해 발표한다. 고주파와 레이저 사이의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300MHz~300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해 피부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고, 간편하게 땀샘을 파괴시켜 겨드랑이 땀과 냄새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1~2회의 시술만으로 겨드랑이 다한증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미국 FDA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받은 안전한 시술법이다.


지난 대한피부과의사회 춘계심포지엄에서는 '뉴 테크놀러지 인 2013(New Technology in 2013)세션에서 다한증 치료의 실증적인 발표가 이루어져서 관심이 집중됐다.

아름다운나라 피부과 김영진 원장은 '미라드라이를 이용한 다한증치료의 임상경험'이라는 주제로 작년 미라드라이 시술환자들을 분석한 결과, 92.3%가 만족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시술 후 '전혀 땀이 나지 않는다'고 응답한 환자가 61.5%, '땀이 나지 않지만 긴장할 때만 약간의 땀이 난다'는 환자가 30.7%였다.
미라드라이 시술 6개월 이후의 조직검사결과도 환자의 만족도를 뒷받침한다. 시술 전 진피층의 땀샘이 시술 후 소실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의 마이클 카미너 박사는 "기존에 다한증 치료에 시행되던 수술적 방법보다 일상생활에 지장이 적고, 보톡스 치료에 비해 치료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다한증 치료의 새로운 해답을 제시해주고 있다"고 밝혔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