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몬이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학생들에게 '관심이 있던 이성이 상습적으로 맞춤법을 틀린다면 호감도에 변화를 느끼겠는가?'란 질문을 던졌다. 이 질문에 대학생의 84.0%가 '호감도가 떨어진다'고 답했다. 특히 성별에 따른 격차가 커서 여학생의 경우 무려 90.3%가 '호감이 떨어진다'고 답해 남학생(72.7%)보다 약 18%포인트 가량 더 맞춤법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생활에서 바른 말과 글을 사용하는 데 어려운 점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무려 95.2%가 '있다'고 답했다. 대학생들은 가장 어려운 점 1위로 '띄어쓰기(30.2%)'를 꼽았으며, '맞춤법(28.4%)'이 그 뒤를 바짝 쫓았다.
이어 '적절한 어휘 사용(19.3%)', '어법 및 문법(13.8%)', '높임말(5.0%)', '정확한 발음(3.0%)' 등도 바른 말·글 사용을 어렵게 느끼게 하는 원인으로 꼽혔다. 한편 대학생들은 평소 자신의 맞춤법 구사 실력을 100점 만점에 78.1점으로 평가했다.
yccho@fnnews.com 조용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