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한국원자력학회, 사용후핵연료 공론화 활성돼야

사용후핵연료에 대한 갈등을 통합하기 위해 공개적인 노의가 활발히 진행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국원자력학회(KNS)는 1일 정부가 진행하고 있는 사용후핵연료 관리 방안 공론화와 관련 학회 차원의 입장을 담은 의견서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원자력학회는 의견서에서 사용후핵연료 관리 방안이 우리나라의 미래를 위한 국가의 지속가능 발전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국가적, 사회적 갈등 요소가 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공론화에 참여하는 모두가 서로를 이해하고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의 대안과 전략을 제시해 토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자력학회는 또 공론화 과정에서 사용후핵연료의 원전 부지 내 임시 저장 및 중앙집중식 또는 분산식 중간 저장, 재활용, 최종 처분 등이 모두 심층적으로 다뤄져야할 것이라며 임시저장의 확장 기술과 사용후핵연료 재활용 기술, 고준위폐기물 감량 기술, 고준위폐기물 최종처분 기술 등 원자력계가 그동안 수행해 온 연구개발 결과가 사용후핵연료 관리 방안에 대한 논의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돼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또 원자력학회는 지난해 12월 출범한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가 성공적으로 임무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임을 천명했다.

이번 의견서는 한국원자력학회가 산하 원자력이슈위원회를 통해 국가 현안인 사용후핵연료 관리 방안에 대한 학회 소속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아 작성한 것으로 사용후핵연료 공론회 위원회에도 전달됐다.

jhpark@fnnews.com 박지현 기자